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광복의 뜻을 이루기 위해서는 일본과 일전을 벌여야 한다는 생각으로1940년 9월에 충칭에서 광복군을 창설하였다.광복군은 총사령관에 지청천, 참모장에 이범석을 임명하면서 모병(募兵) 활동도 적극적으로 벌였다.1942년에는 김원봉이 중심이 되어 조직되어 대일 항전을 벌이던 조선의용대와 연합하여 규모가 커졌다.김원봉은 광복군의 부사령관 겸 제1지대장이 되었다.일본이 진주만을 기습하여 태평양 전쟁이 일어나자, 임시 정부는 1941년 12월 9일에 대일선전포고를 하였다.이로써 대한민국임시정부는 연합국의 한 나라로 대일전에 참전한 셈이 되었다.1944년에 광복군은 영국군의 요청에 따라 일부의 병력을 인도․미얀마 전선에 파견하였다.파견된 광복군은 영국군과 협조하여 포로 심문, 회유 방송, 선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