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319

4월15일 오늘의 역사, 제암리 학살사건

화성 제암리에서도 3․1 운동이 일어났다.제암리 교회 청년들은 4월 5일 발안 장날에만세 운동을 일으켰다가 일본 경찰에 의하여 무자비한 탄압을 당했다.이에 제암리 주민들은 밤마다 뒷산에 올라가 봉화를 올리며만세 운동을 전개하였다. 아리타 도시오 (有田俊夫) 육군 중위가 이끄는 일본 경찰은제암리에서의 만세 운동을 뿌리뽑기 위하여 “너무 심한 매질을 한 걸 사과하러 왔다”는 것을 명분으로 4월 15일 15세 이상의 남자 신도들을 교회로 모이라고 하였다.23명의 신도가 모이자 일본 경찰은 출입문에 못질을 하여나오지 못하게 한 후에 석유를 뿌리고 불을 질렀다.안에 있던 청년들이 창문을 뜯고 나오려고 하자,창문 밖에서 사격을 가하여 사살하는 만행을 저질렀다.19명은 교회당 안에서 사망했고, 3명은 교회당에서 탈출..

4월13일 오늘의 역사, 임진왜란이 일어나다

1592년 (음)4월 13일(양력 5월 23일), 임진왜란이 일어났다.일본은 가마쿠라 막부의 힘이 약해지면서 무사들끼리 치열한 세력다툼을 하는 전국시대의 혼란을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일시적으로 통일하였다.그러나 무사들의 힘을 두려워한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그들의 관심을 외부로 돌리기 위해 일으킨 것이 임진왜란이다.'명을 정벌하러 간다'라는 이유로 '명 정벌을 위해 길을 빌려달라 (정명가도:征明假道) '라며 조선에 요구를 했다.​조선은 명과 사대 관계를 맺고 있어 일본의 요구를 거절하였다. 일본은 이를 핑계로 쳐들어온 것이다.일본의 움직임을 심상하지 않다고 생각한 조선 정부는 동인에서 김성일, 서인에서 황윤길을 대표로 하여 일본의 움직임을 알기 위해 사신을 파견했다. 서인은 일본의 침략이 있을 것이니 대비를 ..

방화수 드므

3월부터 4월까지 영남지방에서 큰 산불이 일어났다.문화재가 불에 타고 많은 사람들이 피해를 봐 안타까움을 더했다.현대에도 불은 무서운 존재이니 옛날에는 말할 것도 없을 것이다.그래서 우리 조상들은 불이 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벽사(辟邪) 시설을 곳곳에 설치해 두었다. 특히 궁궐에 가보면 볼 수 있는 시설이다.경복궁, 창덕궁, 창경궁의 전각의 모퉁이에 무쇠로 만든 큰 물동이가 그것이다. 이를 ‘드므’라고 부른다. 이것을 쓰레기통으로 알고 쓰레기 등을 버리는 관람객들이 있어 지금은 큰 그릇에 투명 뚜껑을 씌우고 드므의 용도를 설명하고 있다. 우리 조상들은 ‘불’을 관장하고 불을 일으키는 재앙인 화마(火魔)가 하늘로부터 온다고 믿었다. 그런데 화마는 자기 자신이 얼마나 흉측하고 험상궂은지 모른다고 생각했다...

4월11일 오늘의 역사,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919년 일제의 무단통치에 항거해 3·1 운동이 일어났다.한반도 전체에서 온 국민이 참여한 대규모 만세 운동을 일제는 총칼로 탄압을 가했다.독립운동 지도자들은 만세 운동을 이어가면서 한민족을 하나로 결집시켜 이끌어갈 정부가 꼭 필요하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그 결과 한성(서울)과 연해주, 상하이 등에 정부가 들어섰다.이후 세 곳에 흩어져 있는 정부를 통합해 상하이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4월 11일 수립되고, 4월 13일 공식 출범하였다.당시 임시 정부가 자리 잡은 곳은 상하이의 프랑스 조계지로,  조계지는 프랑스 경찰이 치안을 담당하는 지역으로 일본의 감시를 피하면서 독립운동과 외교활동을 하기 유리한 곳이었다.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나라 이름을 대한 제국을 잇는다는 의미에서 ‘대한’, 국민의 나라라는 뜻..

4월9일 오늘의 역사, 유엔이 소련의 해체를 승인

1922년 12월 30일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U.S.S.R. )’ , 곧 소련(蘇聯)이 사회주의 국가로 처음 등장했다.처음에 러시아를 중심으로 우크라이나, 벨로루시(白러시아), 자캅카스(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조지아)의4개 공화국으로 이루어졌다. 1925년에 우즈베크공화국과 투르크멘 공화국이, 1929년에는 타지크, 1936년 카자흐와 키르키스를, 1940년에는 독일과 소련의 비밀 조약에 의하여 발트해 연안 3국인 리투아니아, 라트비아, 에스토니아와몰도바 등이 소련으로 편입되면서 15개 공화국으로 이루어졌다.소련은 인구 100만 명 이상이면 연방 구성 공화국이 되고, 그 이하의 인구를 가진 민족과 종족은자치공화국·자치주·자치관구로 인정받았다. 또한 연방공화국에서의 이탈은 자유로웠으나, 소..

음4월8일 오늘의 역사, 한성부의 인구

2024년 12월 기준으로 서울시의 인구는 933만 1,828명 이다.한때는 1,000만을 넘었지만 인구가 감소하고 신도시의 개발로 인구가 감소하였다.그래도 1,000만 도시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서울은 조선시대 이래 대한민국의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로 지금까지 이어오고 있다. 서울시의 인구가 처음 보인 것인 40권, 세종 10년(1428) 윤4월 8일 기사이다.  40권, 세종 10년(1428) 윤4월 8일 한성부가 계하기를,"병오년의 호적[版籍]이 지금에 이르러 드디어 경성(京城) 5부의 호수(戶數)가 1만 6천 9백 21호, 인구는 10만 3천 3백 28인이며, 관령(管領)이 46인을 이루었습니다. 성밖 10리의 지역에는 호수가 1천 6백 1호, 인구가 6천 44인, 관령이 15명입니다. 그..

4월6일 오늘의 역사, 미국의 참전

1917년 4월 6일, 미국이 독일에 대해 선전 포고를 하면서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했다. 미국은 독일이 전개한 무제한 잠수함작전에 의하여 자국의 상선이 피해를 입자 독일에 선전포고를 하게된 것이다.중립적인 입장을 가졌던 미국의 참전은 유럽에서 벌어지고 있던 제1차 세계 대전의 양상을 바꾸어놓았다.연합국의 일원으로 전쟁에 참전하면서 1918년 11월 독일이 연합국에 항복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이후 미국은 세계에서 중심국가로, 경찰국가로 지금까지 그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당시 대통령인 윌슨은 민족자결주의를 발표해 '한 민족의 문제는 스스로 해결해야한다'고 발표해 우리나라에서는 3.1운동이 일어나는 계기가 되었다.나아가 국제적인 분쟁을 해결하기위한 기구로 국제연맹을 만들었으나,이를 만드는데 중심국가인 ..

4월5일 오늘의 역사, 제1차 천안문 사태

중국인의 존경을 많이 받는 인물은 바로 저우언라이 총리이다. 1976년 1월,  그가 죽자 마오쩌둥과 갈등으로 실각하였다고 생각한 중국인들이 추모하려고 했다. 그러나 저우언라이를 싫어한 마우쩌둥의 부인 장칭을 비롯한 4인방(장춘차오, 왕훙원, 야오원위안)이 저우언라이를 비난하며 추모 행사를 방해하였다. 더구나 저우언라이 장례식에 참석한 사인방의 언행에 중국인들은 분노하고 있었다. 4월 4일 청명절에 베이징 시민들은 저우언라이를 추모하기 위해 천안문 광장에 있는 인민영웅기념비를 향해 '인터내셔널가'를 부르며 행진한 후 저우언라이의 자자필 비문이 새겨진 기념비에 화환을 걸고 추모했다. 그런데 사인방이 기념비에 있던 화환을 전부 철거해버렸다. 그동안 문화대혁명으로 경기침체에 따른 고통을 받고 살던 중국인들은 ..

새마을 노래, 이렇게 탄생했다

[역사 속의 오늘] 새마을 노래, 이렇게 탄생했다 - 미래한국 Weekly (futurekorea.co.kr) [역사 속의 오늘] 새마을 노래, 이렇게 탄생했다 - 미래한국 Weekly박정희의 새마을운동은 모든 사람을 다 돕는 보편적 방식을 거부했다. 그보다는 ‘뭔가 해 보겠다’는 강렬한 의지를 가진 사람들을 선별해서 돕는, 선택적이고 차별적이며 경쟁적 방식을 도입www.futurekorea.co.kr북한 김일성은 자신의 사리사욕을 위해 북한 주민들을 가혹한 노동력을 착취하기 이해 천리마 운동을 벌였다.오직 김일성 일가의 호의호식이 목적일 뿐이었다.구호로 내세운 '최대한의 증산과 노력'은 허구였다.천리마 운동은 영락없이 실패하였다.그래서 실시된 것이 1976년의 3대혁명붉은기쟁취운동이었다.하지만 이 역시..

4월1일 오늘의 역사, 포항제철 창립

포스코의 원래 이름은 포항제철이다.1968년 4월1일은 포항제철이 창립된 날이며1970년 4월 1일은 포항제철이 첫삽을 뜬 날다.포항제철은 박정희 정권의 중화학공업의 상징적 존재라고 하겠다.제2차경제개발계획에 따라 철강공업 육성이 수립되면서 5개국 8개사가 중심이 되어 대한국제제철차관단 (Korea International Steel Associates, KISA)이 결성되었다.1968년 4월 1일 대한중석을 모태로 설립된 포항제철은 고로를 설치할 자금이 부족하였다.자금 마련을 위해 세계은행의 한국 담당자인 영국인 자페에게 요청했지만 경제성이 없다고 판정하여 거절당했다.이에 박태준은 1969년 1월 KISA의 모기업인 코퍼스의 포이 회장에게 자금 지원을 요청했다가 또다시 거절당했다.박태준은 대일청구권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