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 배우는 인물사/역사인물백과 27

송도삼절

흔히 송도삼절이라고 하면 황진이가 말한 자신과 서경덕, 그리고 박연폭포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선조부터 인조 연간에 사람들은 송도삼절을 최립의 문장, 차천로의 시, 한호의 글씨를 일컬었다. 최립(崔岦)은 서울에서 태어났으나 집안은 가난하였다. 자는 입지(立之)이며, 호는 간이(簡易)이다. 간이는 간이, 변역, 불역으로 구분하는 에서 따온 것으로 '세상만물은 끊임없이 변하지만 간단하고 평이해 쉽게 이해할수 있다'는 뜻이다. 그럼에도 어려서부터 학문에 힘써 명종 10 년(1555) 17세의 나이로 생원시와 진사시에 나란히 합격하였다. 6년 뒤인 명종 16 년(1561) 문과 시험에 장원 급제한 이후 관직에 나아가 여러 지방의 수령을 지냈다. 뛰어난 문장력 덕분에 조선중기 외교문서를 작성해 선조 10년(157..

천연두를 치료한 왕족 이헌길

어느 날 한 부인이 와서 남편의 병세를 말하며 애원했다. 이헌길은 안타까운 표정으로 말했다. “남편의 병은 너무 위중하오. 마지막으로 써 볼 약이 있긴 한데, 그대가 해낼 수 있을지...” 부인의 애원에도 처방을 알려주지 않았다. 부인은 죽어가는 남편의 고통을 줄여주기 위해 독약과 술을 사서 집으로 갔다. 남편의 고통을 줄이고 죽음을 맞게 하기위해 그릇에 독약을 술에 타서 마루 위에 올려놓았다. 하지만 부인은 차마 남편에게 줄 수 없어, 문밖으로 나가 통곡했다. 다시 마루로 돌아오니 울다가 들어왔다. 그런데 그릇이 비어 있었다. 남편이 물인 줄 알고 마셔버린 것이다. 부인은 다시 이헌길에게 달려가 남편이 독을 탄 술을 마셨다고 말했다. “허 참, 내가 알려 줄려고 한 처방이었는데 부인이 하지 못할 것 같..

조선 19대 임금 숙종

조선 19대 임금 숙종은 현종과 명성왕후 사이에서 현종 2년(1661)에 태어났다. 숙종은 양란 이후의 정치, 경제 혼란을 수습하고 왕권과 경제를 안정시켰다. 그는 붕당정치를 이용하여 관리들의 세력균형을 꾀하였다. 그리고 양란과 경신대기근으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을 극복하였다. 북한산성을 수축하면서 남한산성과 더불어 한성방어를 위한 전초기지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백두산 정계비를 세워 청나라와의 국경선을 확정지었고, 안용복의 활약으로 울릉도와 독도에 왜인의 출입을 막았다. 경제적으로 가장 큰 업적은 상평통보의 사용을 보편화시켜 조선말기까지 사용하게 한 점이다. 이전까지 많은 동전을 주조하였으나, 상평통보만큼 널리 사용되지 못했다. 백성들에게 물물교환의 불편함을 해소시켜주었으며, 일본과의 무역을 통하여 상평통..

포은 정몽주

고려 후기의 정치가 고려가 망해갈 무렵, 안으로는 정치를 개혁해 질서를 바로잡는 한편, 밖으로는 외교에 힘써 나라간에 평화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리고 이성계를 비롯한 조선 건국 세력에 맞서 고려를 지키려다 끝내 죽음을 당하였다. 저서로는 이 있고, ‘단심가’를 비롯한 많은 한시를 남겼다. 정몽주의 호는 포은, 시호는 문충공이다. 정몽주는 어려서부터 책 읽기를 좋아하고 재주가 뛰어나 신동으로 불릴 정도였다. 공민왕 때 장원급제를 하며 벼슬길에 오른 뒤, 정치 개혁으로 나라의 질서를 바로잡기 위해 힘썼다. 도 직접 싸움터에 나가 외침을 물리치기도 하였고, 외교에 힘써 아예 싸움을 막고 다른 나라와 평화를 유지하게도 하였다. 어려운 시기에 많은 일들을 맡았지만, 정몽주는 마음이 넓고 시원스러운데다 일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