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313

4월6일 오늘의 역사, 미국의 참전

1917년 4월 6일, 미국이 독일에 대해 선전 포고를 하면서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했다. 미국은 독일이 전개한 무제한 잠수함작전에 의하여 자국의 상선이 피해를 입자 독일에 선전포고를 하게된 것이다.중립적인 입장을 가졌던 미국의 참전은 유럽에서 벌어지고 있던 제1차 세계 대전의 양상을 바꾸어놓았다.연합국의 일원으로 전쟁에 참전하면서 1918년 11월 독일이 연합국에 항복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이후 미국은 세계에서 중심국가로, 경찰국가로 지금까지 그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당시 대통령인 윌슨은 민족자결주의를 발표해 '한 민족의 문제는 스스로 해결해야한다'고 발표해 우리나라에서는 3.1운동이 일어나는 계기가 되었다.나아가 국제적인 분쟁을 해결하기위한 기구로 국제연맹을 만들었으나,이를 만드는데 중심국가인 ..

4월5일 오늘의 역사, 제1차 천안문 사태

중국인의 존경을 많이 받는 인물은 바로 저우언라이 총리이다. 1976년 1월,  그가 죽자 마오쩌둥과 갈등으로 실각하였다고 생각한 중국인들이 추모하려고 했다. 그러나 저우언라이를 싫어한 마우쩌둥의 부인 장칭을 비롯한 4인방(장춘차오, 왕훙원, 야오원위안)이 저우언라이를 비난하며 추모 행사를 방해하였다. 더구나 저우언라이 장례식에 참석한 사인방의 언행에 중국인들은 분노하고 있었다. 4월 4일 청명절에 베이징 시민들은 저우언라이를 추모하기 위해 천안문 광장에 있는 인민영웅기념비를 향해 '인터내셔널가'를 부르며 행진한 후 저우언라이의 자자필 비문이 새겨진 기념비에 화환을 걸고 추모했다. 그런데 사인방이 기념비에 있던 화환을 전부 철거해버렸다. 그동안 문화대혁명으로 경기침체에 따른 고통을 받고 살던 중국인들은 ..

새마을 노래, 이렇게 탄생했다

[역사 속의 오늘] 새마을 노래, 이렇게 탄생했다 - 미래한국 Weekly (futurekorea.co.kr) [역사 속의 오늘] 새마을 노래, 이렇게 탄생했다 - 미래한국 Weekly박정희의 새마을운동은 모든 사람을 다 돕는 보편적 방식을 거부했다. 그보다는 ‘뭔가 해 보겠다’는 강렬한 의지를 가진 사람들을 선별해서 돕는, 선택적이고 차별적이며 경쟁적 방식을 도입www.futurekorea.co.kr북한 김일성은 자신의 사리사욕을 위해 북한 주민들을 가혹한 노동력을 착취하기 이해 천리마 운동을 벌였다.오직 김일성 일가의 호의호식이 목적일 뿐이었다.구호로 내세운 '최대한의 증산과 노력'은 허구였다.천리마 운동은 영락없이 실패하였다.그래서 실시된 것이 1976년의 3대혁명붉은기쟁취운동이었다.하지만 이 역시..

4월1일 오늘의 역사, 포항제철 창립

포스코의 원래 이름은 포항제철이다.1968년 4월1일은 포항제철이 창립된 날이며1970년 4월 1일은 포항제철이 첫삽을 뜬 날다.포항제철은 박정희 정권의 중화학공업의 상징적 존재라고 하겠다.제2차경제개발계획에 따라 철강공업 육성이 수립되면서 5개국 8개사가 중심이 되어 대한국제제철차관단 (Korea International Steel Associates, KISA)이 결성되었다.1968년 4월 1일 대한중석을 모태로 설립된 포항제철은 고로를 설치할 자금이 부족하였다.자금 마련을 위해 세계은행의 한국 담당자인 영국인 자페에게 요청했지만 경제성이 없다고 판정하여 거절당했다.이에 박태준은 1969년 1월 KISA의 모기업인 코퍼스의 포이 회장에게 자금 지원을 요청했다가 또다시 거절당했다.박태준은 대일청구권 자..

왜 국군과 미군에 의한 희생만 들추는 진실화해위일까?

[단독] 北 6·25때 서울대병원 1000명 총살… 진실화해위 이제야 ‘학살’ 인정 (chosun.com) [단독] 국군·경찰 잘못만 들춘 진실화해위, ‘北 학살’ 20년 만에 첫 규명단독 국군·경찰 잘못만 들춘 진실화해위, 北 학살 20년 만에 첫 규명 6·25 때 서울대병원 1000명 총살 이제서야 집단 학살로 첫 인정www.chosun.com지금까지 북한 김일성과 소련, 중공군에 의해 희생된 사람들의 희생을 다룬 진실화해위를 보지못했다.왜?라는 의문을 달 수밖에 없다.우리 역사를 되돌아보면서 국군이나 미군은 가해자라는 인상을 주려고 노력한 것은 아닌지...좀더 공정한 입장에서 진실화해위가 운영되길 바랄 뿐이다.

3월 30일 오늘의 역사, 의주학살사건

3.1운동은 3월 1일에 시작되었으며, 의주에서는 민족 대표 33인 중 한분인 유여대 선생이 자신이 설립한 양실학교 교사와 학생들을 중심으로 의주서교회 공터에서 80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독립만세운동을 벌였다.이때부터 시작된 의주의 독립만세운동은 3월 30일까지 27회의 만세 운동이 일어났다.1919년 3월 29일 정오 12시경, 의주 고령삭면 구창동에 위치한 영산시장에서 장날을 맞아 약 3,000~4,000명이 참여한 의주지역 최대 규모의 만세운동이 일어났다. 최초 운동은 천도교인과 기독교인의 연대 속에서 시작되었는데, 일제는 운동을 조기에 종식하고자 재빨리 탄압에 나섰다. 3·1운동이 시작된 지  한달 가까이 지속되면서 확산되는 터에 일제는 만세운동의 확산을 막이위해 영산시장 내 헌병주재소 헌병 2..

3월27일 오늘의 역사, 김 27만 속을 일본에 수출

대한민국은 2024년 현재 세계 6위 수출을 많이 하는 국가이다.1인당 GDP도 35,000달러로 인구 5,000만 이상, 1인당 GDP 3만 달러 이상의 국가가 되었다.그런데 1947년 오늘 뉴스 제목은'김 27만 속을 일본에 수출'이다.1953년 우리나라의 1인당 GDP는 약 67달러(현재 가치로 약 800달러 수준)  , 북한의 80달러보다 오히려 적었다.이 시절에 김 25만속을 수출한다는 것은 대단한 일이었으니 신문에 대서특필된 것이다.당시에 우리나라의 수출품은 농, 수산품 위주였으니...국가 경제의 기반이 쌀과 보리 중심의 주요 곡물 생산이다.농업중심의 경제 구조였으니, 25만속의 김을 수출한 것은 신문에 나올만 한 것이다.지금의 성과를 이룬 것은 가히 기적이라고 하겠다.오늘날의 영화는 정부와 ..

3월26일 오늘의 역사, 천안함 피격

2010년 3월 26일. 밤 9시 22분. 백령도 남서쪽 2.5km 지점에서 포항급 초계함, PCC-772 '천안함' 이 강력한 폭발음과 함께 물기둥과 함께 물위로 솟아오르며 두 동강이 났다. '천안함 피격 사건'으로 46명이 전사하고, 이후 수색작업에 참여한 한주호 준위가 순직했으며, 수색을 돕던 민간 어선의 사고로 2명이 사망하고 7명이 실종되었다. 먼저, 나라를 위해 애써주신 우리 국군장병과 민간인 여러분의 명복을 머리 숙여 빕니다.천안함은 대한조선공사에서 1989년 진수한 초계함으로 길이 88m, 폭 10m, 속력 57km를 달리며 100명 내외의 해군이 해상에서 적의 침입을 경게하는 활동을 하고 있었다. 미국, 영국, 호주, 스웨덴이 참여한 4개국 73명의 조사단이 합동 조사를 하여 북한의 '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