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네마현 고시 수원의 신도시인 광교가 개발되면서 생긴 박물관이 광교박물관이다. 지역 박물관이지만 전시가 알차다. 특히 민관식 전문교장관과 이종학선생의 기증품 중 가치가 높은 것이 많다. 이종학선생이 기증하신 '시네마현고시'는 일본이 독도를 일본 땅으로 주장하는 근거이다. 그러나 그들이.. 우리역사문화사전/대마도는 우리 땅 2017.07.02
일본의 독도 망언 나라가 매우 혼란스럽다. 그렇다고 혼란을 수습하고자 하는 지도자도 없다. 대한민국호가 흔들릴 때 중국과 일본 등 강대국의 외압이 나타나고 있다. 중국은 사드 배치에 대한 압박을, 일본은 독도 영유권 주장과 스와프체결의 연기, 그리고 위안부 문제 등... 일본의 독도 영유권에 대한 .. 우리역사문화사전/대마도는 우리 땅 2017.01.22
대마도는 우리 땅을 주장한 하우봉 교수 대마도가 우리 땅이었음을 알려주는 하우봉교수의 논문『한국인의 대마도인식』에서 주장했던 내용을 요약하였다. ‘무릇 대마도는 옛날에는 신라국과 같은 곳이었다. 사람의 모습도 그곳에서 나는 토산물도 있는 것은 모두 신라와 다름이 없다.’― 13세기 말의 일본 책인『진대(塵袋).. 우리역사문화사전/대마도는 우리 땅 2014.10.05
대마도의 어원2 대마도의 지명에 대한 일본의 옛 책들은 어떻게 표기하고 있을까?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책인 <고사기(古事記)>에는 대마도를 ‘진도(津島)’로 표기하고 있다. 진도는 ‘일본에서 한반도로 향하던 배가 잠시 머무르는 나루터같은 섬’이라는 뜻이다. <일본서기(日本書記)> .. 우리역사문화사전/대마도는 우리 땅 2014.09.30
대마도의 어원 대마도(對馬島)의 어원을 살펴보자. 우리나라 지명도 유래가 있듯이 일본의 지명도 마찬가지이다. 백제 근초고왕시대에 대규모로 백제인들이 일본으로 건너갔다. 일본으로 건너간 유민들은 우리나라에서 지명을 짓듯이 일본에서도 지명을 지었다. 근초고왕 때 건너간 백제 유민들은 ‘.. 우리역사문화사전/대마도는 우리 땅 2014.09.27
대마도는 우리 땅 요즈음 일본의 역사 왜곡이 도를 넘어서고 있다. 우리로서는 그들의 행태에 증거로서 맞서야 한다. 특히 그들이 '독도를 일본 땅'이라고 하는데 대하여 우리는 '대마도는 한국 땅'이라는 사실을 자꾸 부각시키면서 역사적 증거를 하나하나 찾아야 할 것이다. 이제 '대마도가 한국 땅'이라.. 우리역사문화사전/대마도는 우리 땅 2014.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