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주로, 의주로 이순신의 승리 소식에 선조와 관리들이 기뻐할 때 명나라에서 사신이 왔습니다. 이때 류성룡은 영의정으로 왜국과의 전쟁에서 군사들을 총지휘하는 도체찰사로 일하고 있었습니다. 조선이 왜국의 침입을 받자 명나라에서 사정을 알아보기 위해 사신이 왔습니다. 류성룡이 명나라 사신.. 보고 배우는 인물사/류성룡 2015.03.22
드디어 왜군을 물리치다2 순신은 막걸리를 따르며 기원했습니다. ‘제발 이번 전투에서 승리할 수 있도록 해주십시오. 우리 백성들을 죽이고 괴롭히는 왜적을 물리치게 해 주십시오.’ 순신의 기원이 끝나자 물길의 인도를 맡은 광양현감 어영담이 거북이를 들었습니다. 그리고 거북이에게 막걸리를 한 사발을 .. 보고 배우는 인물사/류성룡 2015.03.19
드디어 왜군을 물리치다 한양이 점령당했다는 소식에 순신은 더 이상 기다릴 수가 없었다. 몇 번 선조임금에게 싸워도 되냐고 상소를 올렸지만 피난가느라 정신이 없는 임금에게서 소식이 올 리가 없었다. 순신은 방답 첨사 이순신, 낙안군수 신 호, 흥양현감 배흥립, 광양현감 어영담, 발포만호 나대용, 보성군수.. 보고 배우는 인물사/류성룡 2015.03.15
임진왜란4 선조를 비롯한 조선의 임금들이 정사를 본 경복궁 근정전, 현재의 모습은 임진왜란 때 불탄 것을 고종이 다시 지은 것이다. 선조 일행의 피난길이 파주에 이르렀다. 비바람이 몰아쳐 앞을 제대로 볼 수가 없었습니다. 관리들은 선조가 건널 수 있는 배를 찾았습니다. 그러나 난리통이니 .. 보고 배우는 인물사/류성룡 2015.03.10
임진왜란3 류성룡은 이일이 책임감이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그러나 왜적의 침입에 속수무책으로 당하다보니 하는 수 없이 이일을 보내는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류성룡은 이일을 떠나보낸 후 신립을 불렀다. 신립은 명종 22년(1567) 무과에 급제하고 선전관·도총부도사·경력·진주판관 등을 .. 보고 배우는 인물사/류성룡 2015.03.06
임진왜란2 부산과 동래를 점령한 왜군은 3개 부대로 나누어 북으로 올라갔습니다. 1군은 고니시유기나가가, 2군은 가토오기요마사가, 3군은 구로다나가마사가 맡았습니다. 왜군이 서울로 향했다는 소식에 선조는 류성룡을 급히 찾았습니다. “그대를 왜구의 침입을 막는 일을 총지휘하는 도체찰사.. 보고 배우는 인물사/류성룡 2015.02.07
[스크랩] <소설 징비록>과 나 <소설 징비록>은 완전 신작은 아니다. 1998년부터 경향신문에 연재한 소설 <당취>에서 이미 다룬 것이다. 연재를 마치고 모두 5권 짜리 대하로 출간했는데, 이후 <소설 토정비결>을 내고 있던 해냄출판사에서 기존 소설 토정비결을 1부로 삼고, 당취를 2부로 삼자하여 그러기로 .. 보고 배우는 인물사/류성룡 2015.02.05
임진왜란 1592년 4월 13일,고니시유기나가가 이끄는 왜군 15만명이 우리나라를 쳐들어왔습니다. 성룡이 걱정한 것이 그대로 나타난 것이었습니다.부산진첨사 정발이 왜군을 막으려 애썼으나 군사의 수가 부족하여 역부족이었습니다. 이어서 고니시유기나가가 동래성을 향하자 동래부사 송상현은 울산의 경상도 좌병사 이각, 양산 군사 조영규, 울산 군수 이언성을 불러 들이고 군사를 모아 싸울 태세를 갖추었습니다. 이각은 왜군의 엄청난 숫자를 보고 밤에 도망을 쳤습니다. 송상현은 동래성을 굳게 잠그고 왜군을 기다렸다. 그리고 송상현은 병사와 백성들에게 말했습니다.?선비가 한번 뜻이 섰으면 그 뜻으로 죽는 것이다. 내가 못난 사람이나 백성 수천의 어버이와 같은 자이니 북쪽의 임금을 위하여 죽으리라?1592년 4월 15일 고니시유지.. 보고 배우는 인물사/류성룡 2015.02.04
전쟁이 일어날 것을 알다2 1575년(선조 8년), 우리 나라의 발전에 큰 역할을 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장애가 되었던 일이 일어났습니다. 바로 관리들이 끼리끼리 모여 나랏일을 의논하면서 두 파로 나뉘어 싸우기 시작한 것이었습니다. 싸움의 시작은 김효원과 심의겸의 싸움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원래 김효원은 학문.. 보고 배우는 인물사/류성룡 2015.02.02
전쟁이 일어날 것을 알다 1590년(선조 23)에 일본에는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었습니다.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200년 이상이나 끌어온 내전상태를 끝내고 일본의 전국을 통일하였기 때문이었습니다. 도요토미 히데요시 초상화 일본을 통일한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자신의 출신이 평민이라는 사실을 알까 두려웠습니다.. 보고 배우는 인물사/류성룡 2015.0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