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로왕 가야의 첫 임금, 가락국을 세운 임금으로 하늘에서 내려온 상자 안에 담긴 금빛 알을 개고 나왔다. 함께 나온 다섯 아이들과 함께 가야국을 다스렸는데, 관직을 정비하고 도읍을 정하는 등 가야의 국가틀을 만들었다. 김수로왕이 어떻게 태어나 가락국(금관가야)을 다스렸는지에 대해서.. 보고 배우는 인물사/역사인물백과 2017.09.19
동학 교주 최제우 민족 종교인 동학의 창시자 조선 시대 말 ‘사람이 곧 하늘’이라는 인내천 사상을 바탕으로 민족 종교인 동학을 만들었다. 최제우는 모든 사람이 평등하다며 신분제에 갇힌 조선 유교 사회를 개혁하고, 거세게 몰려오는 외세에 맞서 민족의 자주성을 지키기 위해 힘썼다. 다른 이름은 제.. 보고 배우는 인물사/근,현대사 영웅만들기 2017.09.09
최초의 서양화가 고희동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화가인 춘곡 고희동(1886-1965)은 서울에서 대한제국 말기 군수를 지낸 고영철의 3남으로 태어났다. 13세에 한성법어학교에서 4년 동안 프랑스어와 근대 학문을 배웠다. 1900년 정부의 초청으로 온 작가가 프랑스인 레미옹이 프랑스어를 가르치면서 초상화를 그리는 것을.. 보고 배우는 인물사/근,현대사 영웅만들기 2017.08.30
태백산 호랑이 신돌석 대한 제국 시기의 의병 대장 신돌석은 경상북도 일대에서 활약하던 대표적인 평민 출신 의병장이다. ‘태백산 호랑이’ 혹은 ‘신장군’으로 불릴 정도로 뛰어난 활약을 보였다. 신돌석의 뛰어난 활약은 일반 농민들에게 용기를 심어 주었고, 이후 평민 의병장들이 많이 나타나게 되는 .. 보고 배우는 인물사/근,현대사 영웅만들기 2017.08.24
‘이상의 집’ 종로구 통인동 154-10에 가면 이상의 집이 있다. 일제 강점기의 시인이며 소설가이다. 그의 글은 때로는 암호처럼 보일 만큼 이해하기 어려운데, 특히 그의 시 ‘오감도’와 소설 ‘날개’는 큰 화제를 불러일으켰다. 이상의 본명은 김해경이다. 1929년 경성 고등공업학교 건축과를 졸업하.. 보고 배우는 인물사/근,현대사 영웅만들기 2017.08.23
김창숙 일제 강점기, 대한민국 정치가 불의와 절대 타협하지 않는 선비 정신을 꿋꿋이 지킨 진보적인 유학자이다. 한평생을 조국의 독립, 반외세, 반분단, 민주주의의 수호를 위해 앞장선 민족의 지도자였으며, 성균관 대학을 설립해 교육 운동에도 힘쓴 교육가였다. 다른 이름은 김우, 자는 문좌.. 보고 배우는 인물사/근,현대사 영웅만들기 2017.08.20
명성황후에 대한 편견 명성황후는 고종의 황후이다. 비록 을미사변의 결과 옥호루에서 시해되어 생존시에는 왕후였지만, 대한제국의 성립과 함께 황후로 추존되었다. 그런데 명성황후에 대한 편견이 많다. 이 편견은 일본인에 의해 만들어졌다. 그녀가 흥선대원군과의 정치 권력 싸움에서 이기기 위해 민씨 .. 보고 배우는 인물사/역사인물백과 2016.12.30
목화솜을 전해온 문익점 선생 고려 후기의 문신 원나라에 사신으로 갔다가 목화씨를 몰래 들여와 널리 퍼뜨렸다. 이후 백성들은 무명옷을 입고 겨울을 따뜻하게 보내게 되었고, 나아가 목화는 경제를 발전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문익점의 호는 삼우당, 자는 일신, 시호는 충선이다. <!--[if !supportEmptyParas]--> &.. 보고 배우는 인물사/역사인물백과 2016.09.05
동해의 푸른 뜻을 품고 태어나다 2 용인이씨의 아버지인 이사온은 병마절도사(조선시대에 8도에 설치한 병영의 우두머리로 종삼품의 무관 벼슬)를 지낸 이익달의 아들이었으나, 참판을 지낸 장인 최응현이 아들은 없고 딸 밖에 없어 최참판 집에 머물고 있었다. 딸이 서울에 사는 신명화와 결혼을 하자 최참판댁을 나와 이.. 보고 배우는 인물사/신사임당 2015.09.17
동해의 푸른 꿈을 안고 태어나다 오늘도 신명화의 부인인 용인 이씨는 걱정이 태산이었다. 아기를 임신한 용인 이씨는 첫째 자식으로 딸을 낳았는데, 이번에도 딸을 낳을까 하는 걱정 때문이다. “부인, 너무 신경을 쓰지 말아요. 딸이면 어떻고 아들이면 어떻습니까? 딸을 낳으면 아들같이 잘 키우면 될 것이 아닙니까?”.. 보고 배우는 인물사/신사임당 2015.0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