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보고의 유적 완도를 찾아서 지금으로부터 1000여년전, 우리 나라에서도 중국, 일본, 그리고 우리 나라를 연결하면서 멀리 동남아시아까지 무역권을 확대하면서 바다의 왕으로써 해상 무역 왕국을 건설한 영웅(英雄)이 있었다. 바로 완도를 중심으로 활동한 장보고장군이다. 영웅을 만난다는 기대감에 6시간에 걸친 여정도 조금도 .. 보고 배우는 문화유산/우리나라의 볼거리 2006.03.15
안용복장군유적을 찾아 <상:독도의 전경, 하:부산시수영동의 안용복장군동상> 울릉도 동남쪽 뱃길따라 200리 외로운 섬하나 새들의 고향 우리 귀에도 익숙한 ‘독도는 우리 땅’이라는 노래 가사의 일부분이다. 분명 독도는 우리 땅이지만 일본 사람들은 자주 시비(是非)를 걸고 있다. 몇 일 전에는 호적을 독도로 옮기는 .. 보고 배우는 문화유산/우리나라의 볼거리 2006.03.14
하루 식사를 두번만? 누군가에게 이런 질문을 하면 무엇이라고 할까요? “하루에 식사를 몇 번 합니까?" 이 질문에 많은 사람들은 웃음을 지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오늘날 우리나라 사람들은 거의가 식사를 하루에 세끼를 먹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옛날에는 동양 사회건, 서양 사회건 식사는 하루에 두 끼가 기본이었습니다.. 우리역사문화사전/우리역사문화사전 2006.03.14
옛날에 필요했던 외국어는? 옛날에도 우리나라는 중국과 일본, 여진족, 거란족 등과 대외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으니 외국어가 필요했을 것이다. 그런데 통역인이 엉뚱하게 통역하는 일이 있어 고려시대부터는 아예 통역인을 양성하고 외국어의 번역과 통역을 맡아보는 관청을 만들었다. 처음에는 통문관(通文館)이라 했다가 사.. 우리역사문화사전/우리역사문화사전 2006.03.13
왕들의 생활은? “뭬야”로 인기를 모았던 모방송국의 ‘여인천하’에서 세자인 인종이 계모인 문정왕후에게 시달림을 받는 장면이 나와 많은 시청자들을 안타깝게 만들던 때가 있었다. 또 오래 전에 방송되었던 ‘자고 가는 저 구름아’라는 라디오 드라마에서는 15대 광해군이 배다른 동생인 영창대군을 방에 가.. 우리역사문화사전/우리역사문화사전 2006.03.12
옛날에도 공휴일이 있었나요? 옛날에는 매월 1일, 8일, 15일, 23일, 그리고 절기 절입일(순태양력 매월 1일) 등 5일은 오늘날의 일요일이었다. 그런가 하면 국정 공휴일로 정해진 날도 따로 있었다. 설날부터 7일, 그리고 정월에는 자일(子日:달력의 일진에 子가 들어 가는 날)과 오일(午日:일진에 午가 들어가는 날)에도 쉬었다. 대보름.. 우리역사문화사전/우리역사문화사전 2006.03.12
옛날에도 일요일이 있었나요? 논다고 하는 것은 즐거운 일이다. 일주일의 피로를 일요일 하루를 통해서 재충전의 기회를 찾고 피로를 풀자는 뜻에서 일요일이 생겨났다. 일요일제는 1895년 4월부터 쓰기 시작했으며 그 이전에는 없었다. 그렇다고 일년 내내 일만 하지 않았다. 고려, 조선 시대에도 오늘날과 똑같이 한 달에 다섯 번 .. 우리역사문화사전/우리역사문화사전 2006.03.12
임꺽정을 만나다 산정호수로 유명한 포천을 지나 43번국도를 따라가면 철원이 나옵니다. 산이 많은 강원도에서 유난히 평야가 많은 철원, 한국전쟁이 일어나기 전까지는 북한 지역이었다가 전쟁 후에 우리 땅이 된 곳이지요. 원래 철원은 쇠철(鐵)자와 벌원(原)입니다. 곧 '쇠벌', 즉 서라벌이지요. 곧 서울을 뜻하지요. .. 보고 배우는 문화유산/우리나라의 볼거리 2006.03.12
옛날에도 복권이? 로마시대에 첫 복권 서양에 복권이 처음 등장한 것은 로마시대로 거슬러 올라가 아우구스투스 시대(BC 63~AD 14) 부터 시작됐다. 그는 귀족이나 관리를 초청해 잔치를 베푼 후, 음식값을 받고 계산서를 내면 추첨해 값비싼 여러 가지 상품을 나누어주곤 했다. 본격적인 복권 발행은 네로 황제(AD 37~68)때였.. 우리역사문화사전/우리역사문화사전 2006.03.11
옛날에도 신문이 옛날에도 신문이? 우리나라에서 근대 신문이 발간된 것은 1883년에박문국에서 나온 <한성순보(漢城旬報)>가 그 시작이다.<한성순보>는 순간(旬刊), 즉 10일에 한 번 발간되는 신문으로 국가에서 발행하는 관보(官報)였다. 관보는 헌법개정을 비롯하여 각종 법령·고시·예산·조약·서임(敍任).. 우리역사문화사전/우리역사문화사전 2006.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