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의 소방서 우리나라에서 화재를 예방하기 위한 제도는 멀리 삼국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진평왕 18년(596)에 영흥사(永興寺)에 불이 나서 왕이 친히 이재민을 위문, 구제했다는 기록이 있다. 당시 소방이 전문적인 행정 분야로 분화되지는 않았으나, 이미 화재를 사회적 재앙으로 인식하여 국가가 나선 것으로 .. 우리역사문화사전/우리역사문화사전 2006.05.03
화폐 돈, 즉 화폐는 상품 교환을 위한 사는 사람과 파는 사람의 관계를 맺어주는 매개물로서 어떤 물건의 가치를 매기거나, 물건값을 치르는 도구를 말한다. 우리나라는 고조선시대에 이미 화폐를 사용했던 것으로 생각이 된다. 이는 고조선의 <8조법금>에 ‘도둑질한 자는 노비로 삼는데, 만약 용서를 .. 우리역사문화사전/우리역사문화사전 2006.05.01
청계천 북악산·인왕산·남산 등으로 둘러싸인 서울분지의 모든 물이 청계천에 모여 동쪽으로 흐르다가 왕십리 밖 살곶이다리근처에서 중랑천과 합쳐 한강으로 흐른다. 본래의 명칭은 ‘개천(開川)’이었다. 조선 태조가 서울을 수도로 정했을 당시에 청계천은 자연하천 그대로여서 홍수가 나면 주위의 집.. 우리역사문화사전/우리역사문화사전 2006.04.26
북관대첩비 지난 3월 1일 북한으로 인도된 비석이 있다. 바로 북관대첩비이다. 임진왜란이 일어나고 선봉장인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는 함경도 해안선을 따라 북쪽으로 진군하였다. 선조가 의주가 피난을 간 것과 달리 선조의 첫재 아들인 임해군은 함경도 회령으로 피난을 갔다. 이때 죄를 짓고 이곳에서 귀양.. 우리역사문화사전/우리역사문화사전 2006.04.16
UFO UFO, 즉 미확인 비행 물체가 요즈음에 한창 화제다. 이것은 목격자들에게 아직까지 쉽사리 설명할 수 없는 비행 물체나 광학 현상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항공 우주 공학이 발전하면서 주요 관심사가 되었으며, 1948년 미국 공군은 블루 북(Blue Book) 계획이라는 UFO보고서 철(綴)을 보관하기 시작했다. 우.. 우리역사문화사전/우리역사문화사전 2006.04.09
코기리는 언제 들어왔나? 코끼리는 조선시대 태종 11년(1411)에 처음으로 들어왔다. 일본 국왕이 바친 이 코끼리는 수레와 말을 관장하는 사복시(司僕寺)에서 맡아 길렀다. 그런데 1년쯤 지난 후 공조판서를 지낸 이우라는 사람이 그 코끼리를 놀리다가 깔려 죽었다. 그러자 조정에서 죄를 지은 동물을 벌주어야 한다는 논의가 일.. 우리역사문화사전/우리역사문화사전 2006.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