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에도 일요일이 있었나요? 논다고 하는 것은 즐거운 일이다. 일주일의 피로를 일요일 하루를 통해서 재충전의 기회를 찾고 피로를 풀자는 뜻에서 일요일이 생겨났다. 일요일제는 1895년 4월부터 쓰기 시작했으며 그 이전에는 없었다. 그렇다고 일년 내내 일만 하지 않았다. 고려, 조선 시대에도 오늘날과 똑같이 한 달에 다섯 번 .. 우리역사문화사전/우리역사문화사전 2006.03.12
임꺽정을 만나다 산정호수로 유명한 포천을 지나 43번국도를 따라가면 철원이 나옵니다. 산이 많은 강원도에서 유난히 평야가 많은 철원, 한국전쟁이 일어나기 전까지는 북한 지역이었다가 전쟁 후에 우리 땅이 된 곳이지요. 원래 철원은 쇠철(鐵)자와 벌원(原)입니다. 곧 '쇠벌', 즉 서라벌이지요. 곧 서울을 뜻하지요. .. 보고 배우는 문화유산/우리나라의 볼거리 2006.03.12
옛날에도 복권이? 로마시대에 첫 복권 서양에 복권이 처음 등장한 것은 로마시대로 거슬러 올라가 아우구스투스 시대(BC 63~AD 14) 부터 시작됐다. 그는 귀족이나 관리를 초청해 잔치를 베푼 후, 음식값을 받고 계산서를 내면 추첨해 값비싼 여러 가지 상품을 나누어주곤 했다. 본격적인 복권 발행은 네로 황제(AD 37~68)때였.. 우리역사문화사전/우리역사문화사전 2006.03.11
옛날에도 신문이 옛날에도 신문이? 우리나라에서 근대 신문이 발간된 것은 1883년에박문국에서 나온 <한성순보(漢城旬報)>가 그 시작이다.<한성순보>는 순간(旬刊), 즉 10일에 한 번 발간되는 신문으로 국가에서 발행하는 관보(官報)였다. 관보는 헌법개정을 비롯하여 각종 법령·고시·예산·조약·서임(敍任).. 우리역사문화사전/우리역사문화사전 2006.03.11
조선 최대의 스캔들 아, 왕과 대통령은 괴로워? ‘뭬야?’ 한동안 옛 왕비들이 쓰던 말이 우리들 입에서 떠나지 않은 적이 있다. TV 드라마의 단골 메뉴가 된 왕과 왕비 그리고 그들의 친족들이 권력을 두고 벌이는 드라마에 매번 눈을 떼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역사는 반복된다는 말처럼 수백 년이 흐른 21세기 한국 땅.. 우리역사문화사전/우리역사문화사전 2006.03.11
거제도 포에서 부산에 이르는 지역은 곳곳에 이순신장군의 유적이 남아있다. 그만큼 왜군이 쳐들어 온 임진왜란 때 장군이 남해를 주름 잡았음을 알 수 있다. 현충사에서 이순신장군을 만난 후 곧바로 왜군을 맞아 처음으로 승리한 옥포를 향했다. 거제시 옥포동에는 이순신장군이 왜군을 물리친 것을 기념.. 보고 배우는 문화유산/우리나라의 볼거리 2006.03.11
도산서원 안동 시내를 통과하여 35번 국도로 이곳 안동 사람들이 '예안길'이라고 하는 길을 따라 '안막재'라는 고개를 넘어 구비 구비 돌아 내려서니 드넓은 호수가 '안동호'가 있습니다.(그라이브길로 최고) 35번 국도는 멋지고, 저녁노을에 빛나는 안동호를 바라보면 안동댐으로 잃어버린 어딘가에 있을 옛 길.. 보고 배우는 문화유산/우리나라의 볼거리 2006.03.11
내시 -내시의 역사 내시는 궁녀와 함께 궁궐 안의 온갖 잡일을 하는 사람들을 말한다. 이들을 내시라고도 하고 환관이라고도 하는데, 정식 명칭은 내시이다. 내시의 역사는 중국에서 시작되었는데, 은왕조 시대에 강족(羌族)을 사로잡아 남자의 생식기를 자른 후 궁궐에서 일을 하게 했다고 한다. 우리나라.. 우리역사문화사전/우리역사문화사전 2006.03.11
궁녀 -어떻게 궁녀가 되었을까? 요즈음 텔레비전 방송에서 시청자들의 많은 관심을 끄는 프로그램 중에 '대장금'이 있다. 장금이라는 궁녀가 여성으로서 최초이자 마지막으로 임금의 주치의인 어의(御醫)가 되는 과정을 그리고 있는 드라마이다. 궁녀는 왕족을 제외한 궁중의 모든 여인을 이르는 말인데, 크.. 우리역사문화사전/우리역사문화사전 2006.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