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동쌤의 역사 속의 오늘은? 99

1월 7일 오늘의 역사, 경복궁에 흠경각 준공

세종 20년(1438) 음 1월 7일, 경복궁에 옥루를 설치한 흠경각이 준공되었다.위치는 경회루 북쪽, 세종 침전 옆이며 천추전 서쪽이었다. 우승지 김돈은 이 기계를 이렇게 묘사했다. 세종 20년 1월 7일 실록을 보면 '사람 힘을 빌리지 않고 저절로 운행하는 것이 마치 귀신이 시키는 듯하고 털끝만큼 어긋남이 없으니 계교가 참으로 기묘하다.' 에서 보듯이 자동 시계가 완성된 것이다.이 물시계를 만든 장영실이 흠경각 제작자이다. '흠경(欽敬)'은 '하늘을 우러러 공경하며 백성에게 시간을 알려준다(欽若昊天 敬授人時)'는 뜻이다.농업을 중시한 조선시대에 농사를 짓는데 맞는 절기를 아는 것은 매우 중요했고 시간의 의미가 중요한 시절이었다.이러한 절기와 시간을 나라에서 알아내 백성들에게 전하기 위해 만든 관청이 ..

1월 6일 오늘의 역사, F.D.루즈벨트의 4가지 자유 연두교서 발표

뉴딜 정책으로 대공황을 극복하고 제2차세계대전에서 연합국의 승리를 이끌었던 중심인물인 미국의 제32대 대통령 프랭클린 D. 루스벨트는 1941년 1월 6일, 연두교서를 발표했다.세계에 큰 영향을 미친 '4대 자유(Four Freedoms)' 는 대서양 헌장과 국제연합 헌장, 그리고 세계인권선언에도 반영되었다.또한 세계인권선언 제25조인 '적정한 생활수준을 누릴 권리'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 루즈벨트는 연설에서 "언론과 의사 표현의 자유, 신앙(종교)의 자유, 결핍으로부터의 자유, 공포로부터의 자유"를 발표하면서 제2차 세계대전 중 연합군의 비전을 제시되었다.1944년에 4선에 성공하고 세계 평화를 위하여 국제연맹의 약점을 보완한 국제연합을 창설하고자하는 그림을 그렸으나, 1945년 4월 12일 휴양차 머..

1월5일 오늘의 역사, 서재필 선생 세상을 떠남

일제 강점기, 대한민국 정치가로 조국의 개화와 독립을 위해 일생을 바친 민족의 지도자로, 특히 독립신문>을 펴내 자주 독립과 자유 민주주의 사상을 드높였다. 일제에 나라를 빼앗긴 뒤에는 조국의 독립 문제를 세계 여론에 호소하는 데 힘을 기울였다. 호는 송재이다. 서재필은 1864년 전라남도 보성에서 태어나 어릴 때 서울에 올라와 외삼촌 집에서 공부하였고, 개화파인 김옥균, 서광범 등과 가깝게 지냈다. 1881년에 신사유람단에 참여해 일본의 선진 문물을 배운 데 이어, 영선사에 뽑혀 청나라에 가서 군사 기술을 배웠다. 또한 국방을 근대화시킬 필요성을 느끼고, 일본의 도쿄 도야마 육군학교에서 신식 군사 기술을 익히기도 하였다.이런 가운데 서재필은 하루빨리 나라를 개화시키고 싶어 갑신정변에 참여하였으나, 정변..

1월 5일 오늘의 역사, 소한 추위

1월 5일은 소한이다. 우리나라 속담에'대한(大寒)이 소한(小寒) 집에 놀러 갔다가 얼어 죽었다'하여소한(小寒) 추위가 얼마나 매서운지 말하고 있고,'소한(小寒) 추위는 꾸어서라도 한다', ‘춥지 않은 소한(小寒) 없고 포근하지 않은 대한(大寒) 없다.’,‘소한(小寒)의 얼음이 대한(大寒)에 녹는다.’, ‘소한이 대한의 집에 몸 녹이러 간다.’라는 속담이 전할 정도로 소한(小寒) 추위가 겨울 추위 중에 가장 춥다고 하겠다. 24절기에서 글자대로 한다면 물론 대한(大寒)이 제일 춥겠지만,사실은 1월 5일 소한(小寒) 추위가 일 년 중 가장 춥다. 우리나라 겨울은 입동(立冬)에서 시작하여 소한(小寒)에 이르러 가장 춥다가대한(大寒)에서 누그러져 입춘(立春) 때 물러가기 시작하는 것이다. 소한은 춥기도 하지만..

1월 4일 오늘의 역사, 1.4 후퇴

인천 상륙작전의 성공으로 1950년 9월 28일 서울을 탈환한 대한민국 국군과 UN군이 압록강에 이르자 중공군은유엔군과 국군이 압록강변까지 이르자 10월 2일 참전을 결정하고, 10월 19일 전쟁에 개입하였다. 중공군의 참전으로 12월 4일 평양, 12월 24일 흥남에서 철수했고, 12월 말에는 삼십팔도선 이북을 중공군에게 빼앗겼다. 중공군은 여세를 몰아 남하하면서 1951년 1월 4일 서울을 함락하면서 임시 수도를 부산으로 정하고 서울을 철수하였다. 1951년 3월 18일 유엔군과 국군이 서울을 다시 수복했으며, 이후 전쟁은 삼팔선 부근에서 국지전으로 전개되었다. 1·4 후퇴 이후 부산은 피난민으로 인산인해를 이루어 120만 명이 거주하는 도시가 되었다.주택난으로 일본인들이 공동묘지로 조성한 아미동에 ..

12월 30일 오늘의 역사, 단발령 시행

일본은 삼국간섭으로 청일전쟁에서 승리한 이권을 얻는데 실패하였다.일본이 러시아가 중심이 된 삼국간섭으로 한발 물러서는 모양새를 보이자, 명성황후는 러시아와 관계를 맺어 배일정책을 추진하고자 했다. 이에 일본은 명성황후를 경복궁 건청궁 옥호루에서 시해하는 만행을 저질렀다. 그리고 개혁을 실시하니 바로 을미개혁이다. 을미개혁은 건양이라는 연호 사용, 양력 사용, 단발령 실시, 종두법 실시, 우편제 실시를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단발령(斷髮令)은 1895년 12월 30일(음력 11월 15일) 김홍집 내각이 고종의 칙령으로 공포한 법령이다. 단발령은 성년 남자의 상투를 자르고 서양식 짧은 머리를 하도록 강제하는 것이다. 정부는 긴 머리가 위생과 청결을 유지하는데 어려우며, 일의 효율성을 꾀하고자 추진한다고 했..

12월29일 오늘의 역사, 쑨원이 중화민국 임시대총통이 되다

조국을 사랑했다는 둘째 송경령(1892~1981년)은 그 사랑에 대한 보답인지 1981년 10월에 중국정부는  '중화인민공화국명예주석 송경령 동지'라는 영예로운 명칭을 부여했고,  중국인들의 변함없는 사랑을 받고 있다.송경령은 신해혁명을 일으켜 중국을 민주 국가로 이끈 의사이자 정치가인 손문과 1914년에 결혼해 11년동안 정치적 동지로서 함께 했다. 손문(쑨원)은 손중산(쑨중산) 또는 쑨이쎈(손선)이라고도 불리는 손문은 청나라 광동성 출신으로 홍콩에서 의학교를 졸업했다. 의학교에 다니며 중국을 개혁하려는 뜻을 가지고 1894년 미국 하와이에서 홍중회를 만들어 광저우에서 1895년 혁명을 일으키려다 실패했다.이후 일본과 유럽을 떠돌며 삼민주의(중국의 정통 한족이 만주족을 몰아내자는 민족주의, 모든 국민에..

12월28일 오늘의 역사, 나석주 열사가 동척에 폭탄투척

1926년 12월 28일 오늘은 나석주 열사가 우리 농민들을 수탈하던 동양척식주식회사에 폭탄을 투척한 날이다.지난 7월 26일부터 10월 9일까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나석주 열사의 '독립을 향한 꺼지지 않는 불꽃'이란 주제로  전시회가 개최되었다.김구가 세운 양산학교에서 맺은 사제관계의 인연으로 경무국장인 김구의 경무국 소속 경호원이 되었다. 김구는 『백범일지』에서 나석주를 “친하게 믿는 지사요 제자”라고 할 정도로 아끼고 있었다.그는 임시정부와 교포를 위협하는 일본 첩자와 임시정부를 지키는 일이었다.국내에서의 독립운동을 꿈꾸던 나석주는 김창숙이 토지수탈기관인 동양척식주식회사의 폭파를 제의하자,중국인 노동자 '마중덕'으로 위장하여 귀국하였다.중국인으로 활동하며 기회를 엿보던 나석주는 1926년 12월 28..

12월25일 오늘의 역사, 크리스마스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을 축하하는 날이지만, 사실 12월 25일에 예수가 태어났는지는 확실하지 않다.아마 초기 그리스도교도들이 로마의 이교 축제와 함께 축하하고 즐기기 위해 이날로 정했을 것으로 추정한다.옛날 성탄절은 1월6일이었다. 왜냐하면 '1월 1일은 세상이 열린 날이고, 인간은 1월 6일에 나왔다'고 하는 설에 의한 것이다.(지금도 아르메니아 성탄절은 1월 6일이다) 그러다가 해가 길어지는 동짓날로 앞당겼고(동지를 12월 25일로 3일 이상 잘못 계산하였다. 그만큼 서양의 천문학이 뒤쳐졌다는 사실이다), 동지와 같은 날에 기념하기를 원했기 때문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325년 니캐아종교회의에서 12월 25일을 성탄절로 정하면서 현재는 대중적인 축제로 생각하면서 그리스도교들뿐 아니라 나라와 종교에 상관..

12월23일 오늘의 역사, 일본 A급 전범 교수형 집행

1948년 11월 12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극동군사재판에서 사형선고를 받았다. 1948년 12월 23일 사형선고를 받은 A급 전범 7명이 교수형으로 처형되었다.* A급 전범이란 포츠담선언 6항에 근거, 극동 국제 군사재판소 조례 제5조항에 정의된 전쟁 범죄에 관해 극동국제군사재판을 통해 유죄 판결을 받은 사람이다.이타가키 세이시로.관동군 참모장. 육군장관. 만주국 군정부 최고 고문, 사형집행. 만주에서 활약하던 우리 독립군이 상대한 인물이다. 이시와라 간지와 함께 만주사변을 계획하여 일으켰으며, 중일전쟁의 주요 인물이다.무토 아키라.제14군 참모장. 육군 중장. 사형집행. 중국과 확전을 주장하여 직접 부참모장으로 난징대학살 지휘, 난징대학살의 책임자 중 하나로 꼽혀 중장으로 유일하게 사형 판결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