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폐 돈, 즉 화폐는 상품 교환을 위한 사는 사람과 파는 사람의 관계를 맺어주는 매개물로서 어떤 물건의 가치를 매기거나, 물건값을 치르는 도구를 말한다. 우리나라는 고조선시대에 이미 화폐를 사용했던 것으로 생각이 된다. 이는 고조선의 <8조법금>에 ‘도둑질한 자는 노비로 삼는데, 만약 용서를 .. 우리역사문화사전/우리역사문화사전 2006.05.01
청계천 북악산·인왕산·남산 등으로 둘러싸인 서울분지의 모든 물이 청계천에 모여 동쪽으로 흐르다가 왕십리 밖 살곶이다리근처에서 중랑천과 합쳐 한강으로 흐른다. 본래의 명칭은 ‘개천(開川)’이었다. 조선 태조가 서울을 수도로 정했을 당시에 청계천은 자연하천 그대로여서 홍수가 나면 주위의 집.. 우리역사문화사전/우리역사문화사전 2006.04.26
북관대첩비 지난 3월 1일 북한으로 인도된 비석이 있다. 바로 북관대첩비이다. 임진왜란이 일어나고 선봉장인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는 함경도 해안선을 따라 북쪽으로 진군하였다. 선조가 의주가 피난을 간 것과 달리 선조의 첫재 아들인 임해군은 함경도 회령으로 피난을 갔다. 이때 죄를 짓고 이곳에서 귀양.. 우리역사문화사전/우리역사문화사전 2006.04.16
UFO UFO, 즉 미확인 비행 물체가 요즈음에 한창 화제다. 이것은 목격자들에게 아직까지 쉽사리 설명할 수 없는 비행 물체나 광학 현상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항공 우주 공학이 발전하면서 주요 관심사가 되었으며, 1948년 미국 공군은 블루 북(Blue Book) 계획이라는 UFO보고서 철(綴)을 보관하기 시작했다. 우.. 우리역사문화사전/우리역사문화사전 2006.04.09
코기리는 언제 들어왔나? 코끼리는 조선시대 태종 11년(1411)에 처음으로 들어왔다. 일본 국왕이 바친 이 코끼리는 수레와 말을 관장하는 사복시(司僕寺)에서 맡아 길렀다. 그런데 1년쯤 지난 후 공조판서를 지낸 이우라는 사람이 그 코끼리를 놀리다가 깔려 죽었다. 그러자 조정에서 죄를 지은 동물을 벌주어야 한다는 논의가 일.. 우리역사문화사전/우리역사문화사전 2006.04.02
후궁 옛날에는 특히 조선시대에는 왕뿐만 아니라 양반들도 많은 부인을 거느릴 수 있는 일부다처(一夫多妻)제 사회이다. 특히 왕은 마음에 드는 궁녀는 언제든지 부인으로 삼을 수 있었다. 궁녀의 입장에서 이것을 ‘승은(承恩)을 입었다'고 한다. 이렇게 궁녀가 승은을 입고 자녀를 낳지 못하면 일정한 일 .. 우리역사문화사전/우리역사문화사전 2006.03.21
소나무 흔히 유럽 문화를 오크나무 문화라 하고, 지중해 문화를 올리브나무 문화, 일본 문화를 회나무 문화라 하듯이 우리나라 문화는 소나무 문화라 할 수 있다. 예로부터 소나무는 우리 민족의 정신적 상징물이었다. 그러나 일본의 침략기에는 ‘소나무 망국론’이 널리 퍼지기도 했다. 왜냐하면 소나무는 .. 우리역사문화사전/우리역사문화사전 2006.03.19
옛날에도 이혼을 했을까요? 옛날에는 이혼이 가능하였을까? 삼국시대나 고려시대에는 연애가 합법적으로 인정이 되어 결혼과 이혼이 빈번했다고 한다. 반면에 조선시대에는 원칙적으로 이혼이 금지되어 있었다. 그러나 칠거지악(七去之惡)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혼이 가능했다. 이 칠거지악은 모두 여자에게만 해당하는 것으.. 우리역사문화사전/우리역사문화사전 2006.03.17
북관대첩비 임진왜란때 왜군을 물리친 기념비 임진왜란이 일어나고 선봉장인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는 함경도 해안선을 따라 북쪽으로 진군하였다. 선조가 의주가 피난을 간 것과 달리 선조의 첫재 아들인 임해군은 함경도 회령으로 피난을 갔다. 이때 죄를 짓고 이곳에서 귀양살이를 하던 아전 국경인(鞠景仁).. 우리역사문화사전/우리역사문화사전 2006.03.16
하루 식사를 두번만? 누군가에게 이런 질문을 하면 무엇이라고 할까요? “하루에 식사를 몇 번 합니까?" 이 질문에 많은 사람들은 웃음을 지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오늘날 우리나라 사람들은 거의가 식사를 하루에 세끼를 먹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옛날에는 동양 사회건, 서양 사회건 식사는 하루에 두 끼가 기본이었습니다.. 우리역사문화사전/우리역사문화사전 2006.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