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의 여성 교육 우리나라 여성의 지위는 신분과 지위의 높고 낮음에 관계없이 남존여비(男尊女卑)의 유교 사상에 의해 피해를 받아 매우 차별적 교육을 받았다. 우리나라는 엄격한 아버지 중심의 가정으로서 모든 결정이 남성에 의해 이루어졌으므로 부인은 부지런하고 검소한 생활을 하며 남편과 아이들을 잘 봉양.. 우리역사문화사전/우리역사문화사전 2008.02.24
옛날의 교도소가 개방형 교도소? 고조선 이래로 우리나라에서는 감옥이라는 장소를 만들어 죄인들을 백성들과 따로 격리하여 가두었다. 고조선에서 ‘8조금법(八條禁法)’이 만들어진 것을 보면 감옥이 있었을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이때 만들어진 감옥은 높은 돌담을 빙 둘러싼 원형으로 만들어졌다. 현재 경주에 남아있는 신라.. 우리역사문화사전/우리역사문화사전 2008.02.09
관리는 국민의 심부름꾼 오늘날 젊은 대학생들 사이에서 남자건 여자건 선배를 부를 때 ‘형(兄)’이라는 호칭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원래 형이란 남자 동기간(同氣間) 가운데서나 한 항렬 사이에서 나이가 자신보다 많은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다. 오늘날에는 나이가 비슷한 사람들끼리도 ‘민형’, ‘김형’하면.. 우리역사문화사전/우리역사문화사전 2007.12.16
백의민족 고려 공민왕 때 음양오행설에 따라 흰옷 착용을 금지한 것을 시작으로 조선시대에 와서도 여러 차례 백의 금지령이 내렸으나 번번이 제대로 시행되지 않았다. 그만큼 우리 민족의 흰 옷 숭상은 뿌리 깊음을 나타낸다. 우리 민족을 흔히 백의민족이라고 부른다. 이 말은 옛날부터 우리 민족이 백색 옷, .. 우리역사문화사전/우리역사문화사전 2007.09.23
옛날 공중전화는 관리가 늘 감시 오늘날 사람들은 집안이건 밖이건 간에 걸어 다니며 전화를 할 수가 있다. 즉 휴대폰을 남녀노소 가리지 않고 가지고 다니므로 보편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버스 정류장이나 사람들의 통행이 많은 곳에 설치되어 있던 공중전화가 쓸모가 없어져 한국통신에서 골치가 아프다고 한다. 전화는 1876.. 우리역사문화사전/우리역사문화사전 2007.09.18
무궁화는 옛날부터 우리나라에 모든 국가에는 국화(國花)가 있다. 곧 나라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법으로 정한 일도 없이, 자연스럽게 무궁화가 국화로 굳어졌고, 또 국민들은 이 꽃을 사랑하며 아끼고 있다. 일제 침략기에 우리 민족이 나라의 상징으로 무궁화를 깊이 사랑하였다. 이에 무궁화를 뜰에 심는 것을 일본인 관리들은 몹.. 우리역사문화사전/우리역사문화사전 2007.08.17
공소시효 우리의 옛 법에는 ‘공소 시효’란 것이 없었다. 인과응보의 사상 아래 죄를 지은 사람은 언제든지 죄 값을 치러야 하고, 공을 세운 사람은 시기가 아무리 흘러도 공을 인정해 주는 신상필벌이 분명했다. 영화 ‘그 놈 목소리’로 공소 시효에 대한 말이 많았습니다. 공소 시효란 어떤 범죄 사건이 일정.. 우리역사문화사전/우리역사문화사전 2007.07.21
옥포대첩의 숨은 동로자들 -조선 수군의 첫 승리, 옥포대첩 임진왜란 당시 패배를 거듭하던 조선의 관군이 처음으로 승리를 거둔 곳이 옥포다. 옥포대첩은 1592년(임진년) 5월 7일 옥포만에서 전라도 수군 총책임자(전라좌수사)인 이 순신과 경상도 수군의 총책임자(경상우수사)인 원균이 91척의 함선으로 일본 해군 함선 30 여 척.. 우리역사문화사전/우리역사문화사전 2007.02.19
다산 초당을 찾아서2 - 다산유물전시관이 있어 다산의 일생과 관련 자료를 전시하고 있다. 다산초당의 현판을 전지의 생명이 다하여 셀폰으로 찍는 아쉬움이 있었다. 다산초당이라는 글씨는 추사김정희의 글씨를 집자한 것이다. - 다산초당앞에 평평한 돌로 '차를 끓이는 부뚜막'이라는 듯으로 자생하는 차잎을 따다가 그.. 우리역사문화사전/우리역사문화사전 2007.01.12
삼국간에 언어가 통했을까? 고구려, 백제, 신라는 모두 같은 언어를 썼을까, 아니면 다른 언어를 써서 서로 대화할 때마다 통역관이 필요했을까? 본래 한국어는 알타이어에서 발생해 원시 한국어로 발전했으며, 여기에서 신라어와 백제어는 원시 한국어로, 고구려어는 원시 부여어로 분화되었다. 삼국 모두 언어의 뿌리가 같기 때.. 우리역사문화사전/우리역사문화사전 2007.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