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를 키우는 마음 주말이면 산을 늘 간다. 산을 갔다오면 한 주일이 즐거우며 활기가 있어 좋다. 내가 주로 다니는 산은 그렇게 높지 않은 산이다. 지난 4월부터 생태보전을 위하여 등산로 정비를 하였다. 등산로 정비를 하면서 등산로를 이용하길 바라면서 나무를 심었다. 그런데 나무를 진작에 심을 것이지, 햇볕이 내.. 학교에서의 일상 2009.07.08
《우리말 1000가지》 『뜻도 모르고 자주 쓰는 우리말 사전』시리즈《우리말 1000가지》. 이 시리즈는 한국인이라면 꼭 알아야 할 우리말 어휘를 모은 사전이다. 고유어와 외래어, 한자어와 고사성어, 관용어, 우리말의 유래까지 한국어 어휘를 총망라하고 있다. 논술을 준비하는 학생은 물론, 교사, 직장인, 취업준비생들.. 이재운 선생님/이재운선생의 우리말 이야기 2009.06.24
이재운 선생의 토정비결 첨단과학이 지배하는 시대에도 운세와 주역에 대한 믿음은 좀처럼 흔들리지 않고 있다. 사람의 운을 주역의 원리를 통해 체계화한 [토정비결]이 지금도 각광받는 것은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기 때문일 것이다. '사람의 운이 어디에 있는가'를 알려준 토정 이지함의 일생과 그의 .. 이재운 선생님/이재운선생의 우리말 이야기 2009.06.17
25. 일제 강점기, 한자의 탈을 쓰고 몰려든 일본어 25. 일제 강점기, 한자의 탈을 쓰고 몰려든 일본어 한자가 들어오면서 없어진 순우리말이 많다. 하지만 경쟁력 있는 어휘들은 한자에 시달리며, 언어와 문자에 관련된 크고 작은 사건들을 견디며 굳세게 살아남았다. 하지만 조선 후기와 일제 강점기에 거의 무방비로 들어온 일본식 한자어는 아직도 큰.. 이재운 선생님/이재운선생의 우리말 이야기 2009.06.16
범종의 고리는 왜 용무늬일까? 종은 오랜 옛날부터 동서양을 막론하고 때와 곳을 알리는 상징물이다. 시계를 사용하기 전까지 종은 시간과 일의 시작과 끝을 알려주었다. 한자어 종(鐘)은 쇠로 만들고, 때리면 ‘동동’ 소리가 나기 때문에, 뜻을 나타내는 ‘金’자와 소리를 나타내는 ‘童’자를 합쳐서 만든 형성자(形聲字)이다. .. 우리역사문화사전/우리역사문화사전 2009.06.15
진주형평사기념탑 우리나라에서 신분제가 폐지된 것은 갑오개혁 때이다. 그러나 진정한 평등 사회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애국계몽운동이 국민들에게 영향을 끼쳐서 근대 의식이 높아갔지만 여전히 신분의 불평등이 존재하고 있었다. 그 중에서 도살업자인 백정들은 여전히 차별대우를 받고 있었다. 기와집에서 .. 보고 배우는 문화유산/우리나라의 볼거리 2009.06.14
23. 조선 말기 이양선을 타고 몰려든 외래어 23. 조선 말기 이양선을 타고 몰려든 외래어 새로운 문명과 문화가 밀려올 때는 반드시 그 문명어와 문화어가 앞장서 들이닥친다. 삼국통일기에 들어온 당나라어, 원나라의 부마국이 된 이래 들어온 몽골어처럼 조선시대 말기에 밀어닥친 열강은 외래어로 무장한 채 나타났다. 그들이 탄 배는 철선(鐵.. 이재운 선생님/이재운선생의 우리말 이야기 2009.06.06
22. 우리말의 보물창고 22. 우리말의 보물창고 <훈몽자회> 지금으로부터 약 500년 전, 세조 때 중인가문에서 태어나 중종 때 정2품관에 이른 고위 외교 관리 최세진이 어린이 학습서를 펴냈다. 고려시대부터 아이들이라면 천자문부터 배우는 게 만고불변의 상식이었지만, 사실 천자문은 대과를 마친 이도 잘 모르는 고사(.. 이재운 선생님/이재운선생의 우리말 이야기 2009.06.01
선덕여왕 MBC에서 방영하는 선덕여왕에 관한 책을 냈습니다. 재미있는 소설처럼 꾸며져 있어‘위인전은 딱딱하고 재미없다’는 선입견을 가지고 있는 독자라면 생각을 바꾸게 될 것입니다. 초등학생의 경우 본문의 내용만으로도 이해가 충분합니다. 그러나 역사를 깊이 알고자 하는 어린이들을 위하여 중학교 .. 나의 책 2009.05.25
21. 한의학 등 생활 속에서 온 말 21. 한의학 등 생활 속에서 온 말 말은 생활 속에서 새로 생겨나고, 불편하거나 필요가 없어지면 사라진다. 20년 전 소설을 읽어보면 당시에는 별 거부감 없이 쓰이던 한자어가 더 이상 쓰이지 않는 걸 볼 수 있다. 그 이전 작품은 더하다. 상당히 많은 한자어가 우리말로 바뀌고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 이재운 선생님/이재운선생의 우리말 이야기 2009.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