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운 선생님/이재운선생의 우리말 이야기 71

호(胡) 자 표지 달고 사막을 건너온 중앙아시아어 ①

12. 호(胡) 자 표지 달고 사막을 건너온 중앙아시아어 ① 우리말에는 뜻밖에도 중앙아시아에서 들어온 말이 아주 많다. 특정 지역의 어휘가 많이 들어왔다는 것은 왕래가 자주 있으며, 문화와 문명이 많이 다르다는 걸 뜻한다. 예를 들어 한반도와 일본 열도 간에 어휘를 주고받는 현상이 일어난 시기는..

11. 한국인의 공간 의식으로 파고든 중국 지명들

11. 한국인의 공간 의식으로 파고든 중국 지명들 최초의 언어는 아마도 특정 공간을 나타내는 용도로 많이 쓰였을 것 같다. 수렵이든 어로든 목축이든 농경 이전의 인류 문화는 주로 집 밖에서 이루어졌을 것이고, 그러자면 공간을 인식하는 어휘가 잘 발달돼야만 하기 때문이다. 우리말의 공간 어휘는..

10. 배 타고 들어와 우리말로 귀화한 외국어들 ②

10. 배 타고 들어와 우리말로 귀화한 외국어들 ② 거문고를 뜻하는 금슬(琴瑟)은 북방으로 들어온 말이지만 가야금은 남쪽 지방에서 만들어졌거나 남방으로 들어온 말이다. 그래서 거문고는 북방 악기가 되고, 가야금은 남방 악기가 된다. 이처럼 우리말에는 남방계와 북방계가 있어 더 다양해졌다. 한..

배 타고 들어와 우리말로 귀화한 외국어들 ①

9. 배 타고 들어와 우리말로 귀화한 외국어들 ① 옛날에 말이 들어올 때는 말을 타거나 배를 탔을 것이다. 역관, 사신들의 교통수단이 이 두 가지였기 때문이다. 신라·백제 때는 중국·일본 왕조와 통하려고 주로 배를 타고, 고구려는 말을 탔을 것이다. 김수로왕 부인 허황옥은 중국 남부나 인도에서 ..

칭기즈칸, 몽골어를 고려 왕실에 보내다 ②

8. 칭기즈칸, 몽골어를 고려 왕실에 보내다 ② 중세 영국 궁정에서는 궁중어로 프랑스어를 썼다. 궁중이란 일반 백성들이 사는 여염하고는 뭐가 달라도 달라야 한다고 여겨 이처럼 언어를 구분했다. 연구 결과, 백제 궁중어는 고구려어와 같았으나 일반 백성들은 궁중어와 달리 마한·변한 지역의 언..

칭기즈칸, 몽골어를 고려 왕실에 보내다 ①

7. 칭기즈칸, 몽골어를 고려 왕실에 보내다 ① 우리말이 한자 덮어쓰기를 당한 이후 가장 큰 변화는 몽골의 침략 이후 고려가 몽골제국 원나라의 부마국이 되면서 일어났다. 큰 전쟁이 일어나면 이 전쟁에 참가한 사람들이 말을 갖고 들어오기 마련인데, 몽골족에 앞서 여진족이나 거란족의 침략이 있..

6. 신라, 우리말을 한자로 덮어쓰다 ②

6. 신라, 우리말을 한자로 덮어쓰다 ② 오늘날 쓰이는 우리말에는 몽골어, 여진어, 일본어, 영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등이 매우 다양하게 들어와 있다. 그러다 보니 광복절이나 한글날이 되면 일본어 잔재를 버려야 한다는 결기있는 학자들의 외침이 끊이지 않는다. 하지만 일본어는 지금 우리말로 ..

신라, 우리말을 한자로 덮어쓰다 1

이재운의 <우리말의 탄생과 진화> - 신라, 우리말을 한자로 덮어쓰다 1 우리나라 사람들은 단일민족이라는 신앙을 굳게 믿고 사는 편인데, 막상 우리말을 보면 그렇지 않다는 걸 알 수 있다. 단일민족이면 그 민족언어가 천년, 이천년 잘 변하지 않거나 조금만 변해 그 과정을 알 수 있어야 하는데 ..

이재운의 우리말의 탄생과 진화 - 말을 보면 역사도 보인다

이재운의 우리말의 탄생과 진화 / [난이도 수준-고2~고3] 1. 왜 우리 작가들은 노벨문학상을 타지 못하나 2. 말을 보면 역사도 보인다 어떤 언어든지 백년 이상 시로 읊어지고, 소설로 씌어지고, 연극 대사로 말해질 때 비로소 ‘문학 언어’가 된다. 그것도 기량이 뛰어난 작가·시인이 많이 활동하고, ..

고구려어는 다 어디로 갔을까?

이재운의 <우리말의 탄생과 진화> - 고구려어는 다 어디로 갔을까? 일본어에서 청국장을 가리키는 미소, 된장을 가리키는 미순이 고구려어라는 사실은 여러 문헌에 나온다. 미소와 미순은 우리말에서는 사라졌지만 일본어에는 그대로 남아 있다. 이처럼 한반도에서 미소와 미순이 사라질 때 무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