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산사2 헌안왕 2년(858)에 창건된 낙산사의 중심 전각인 원통보전은 세 번에 걸쳐 소실되었다. 몽골과의 전쟁으로, 6.25전쟁 중인 1953년, 그리고 2005년 동해안에 닥친 화마로 소실되었다. 671년(문무왕 11) 의상(義湘)이 창건하였다. 당나라에서 귀국한 의상대사는 관세음보살의 진신(眞身)이 낙산 동.. 보고 배우는 문화유산/우리나라의 볼거리 2016.11.03
복원된 낙산사 11년 전인 2005년 4월 5일, 2학년 학생들을 이끌고 설악산을 비롯한 강원권으로 수학여행(주제형 체험학습)을 떠나려던 때였다. 산불이 일어났다. 산불은 걷잡을 수 없이 번져나가 동해안 일대를 쑥대밭으로 만들었다. 걱정을 한 아름 안고 수학여행을 떠났던 것이 어제같은데 벌써 11년이 .. 보고 배우는 문화유산/우리나라의 볼거리 2016.10.31
시화 조력발전소 시화방조제가 건설되면서 외가가 있는 대부도가 연륙도가 되었다. 지금은 외조부모나 외삼촌들이 모두 대부도에서 나와 가볼 일이 많지 않았다. 오랜만에 가보는 시화호의 모습은 많이 변해 있었다. 그 중에서도 조력발전소는 눈길을 끌었다. 밀물 때 바닷물을 끌어들여 발전하고, 썰물 .. 보고 배우는 문화유산/우리나라의 볼거리 2016.10.08
명성황후와 고종의 가례 ‘고종·명성황후 가례’ 재현행사가 24일 오후 서울 종로구 운니동 운현궁에서 열렸다. 가례(嘉禮)란 왕을 위시해 왕세자·왕세손·황태자·황세손의 성혼과 책봉 등 혼례의식을 말한다. 국가적인 중대한 의식이기에 여러 달에 걸쳐 수천 명의 인원이 동원되는 것이 보통이다. 고종과 .. 보고 배우는 문화유산/우리나라의 볼거리 2016.09.24
용문사 용문사하면 은행나무이다. 나라를 고려에 넘긴 아픔을 이기고자 금강산으로 향하던 신라의 마지막 태자 마의태자가 용문사에 지팡이를 꽂으면서 자라난 나무라는 전설이 전해진다. 전설대로라면 1200년 가까운 나무이니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나무이다. 20년 만에 가보는 용문사인데.. 보고 배우는 문화유산/우리나라의 볼거리 2016.08.24
이천월전미술관 이천시 설봉공원내에 자리잡은 월전미술관은 한국화의 큰 어른이라 할 월전 장우성 화백을 기리는 기념관적 미술관이다. 동양 고유의 정신과 격조를 이어받으면서도 현대적 기법을 조화시킨 '신문인화'의 회화세계를 구축하였다. 또한 시서화에 모두 능한 현대화단에서 보기 드문 문인.. 보고 배우는 문화유산/우리나라의 볼거리 2016.08.09
화담숲1 공알과 불알, ‘공알’은 여성의 성기를, ‘불알’은 남성의 성기를 뜻한다. 요즈음 같이 예민한 시기에 글이나 말로 표현하기에 어려운 점이 있다. 바위에도 ‘공알바위’라는 것이 있다. 흔히 ‘여근석’이라고도 한다. 공알바위는 함부로 건드리면 부녀자들이 바람이 나서 마을이 망.. 보고 배우는 문화유산/우리나라의 볼거리 2016.07.30
곤지암 화담숲 광주시 곤지암에 가면 LG그룹이 운영하는 곤지암리조트가 있다. 리조트 안에 화담숲이 잘 가꾸어져 있다. '화담(和談)'은 '정답게 얘기한다.'라는 뜻이다. 비록 인공적이지만 화담숲을 한 바퀴 돌고나니 마음에 힐링이 되었다. 규화목, 나무가 화석이 되어 돌처럼 굳어진 것이다. 전망대에.. 보고 배우는 문화유산/우리나라의 볼거리 2016.07.26
포천 허브아일랜드 경기도 신북면 청신로에는 허브식물박물관이 있다. (이하 허브식물박물관 설명자료 참조) 허브식물박물관은 1997년 3,000평의 부지 위에 세운 전국 최초의 박물관 식물원이다. 국공립 식물원 시설을 제외한 단일종 식물원으로는 전국 최대 규모를 자랑하고, 허브식물박물관 안에는 250여종.. 보고 배우는 문화유산/우리나라의 볼거리 2016.07.17
남이섬 경기도 가평군에서 남쪽으로 약 3.8km 지점에 있으며, 행정구역상 춘천시에 속하나 가평군 달전리와 접하므로 대부분의 관광객들이 이곳을 거쳐 간다. 조선 세조 때 이름난 무관인 남이장군의 묘가 있다고 하여 남이섬이라 했다. 총면적은 약 0.453㎢이며, 둘레는 약 4km이다. 청평 댐을 축조.. 보고 배우는 문화유산/우리나라의 볼거리 2016.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