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도라도전 2 황금 유물이나 토기 등에는 족장을 상징적으로 나타내고 있습니다. 족장은 이마 장식, 코걸이 등 다양한 장식을 하고, 지팡이나 도끼를 손에 들고 앉아 있습니다. 의자에 앉을 수 있는 사람은 오직 족장 뿐입니다. 족장은 일반인보다 더 크고 화려한 장식을 하여 자신의 권위를 표시하였.. 보고 배우는 문화유산/우리나라의 볼거리 2018.08.06
평택 지영희국악관 오늘로 3주째 폭염이다. 멀리 가자니 도로가 꽉 막혀 가기가 겁난다. 해서 가까운 평택의 지영희 국악당을 찾았다. 지영희의 본명은 지천만이다. 1909년 무속신앙을 하는 집안에서 태어났다. 일제는 우리 음악의 단절을 꾀했습니다. 음악을 하기위해, 또는 구경하기 위해 모인 사람들이 독.. 보고 배우는 문화유산/우리나라의 볼거리 2018.08.02
경주 능지탑 경주에 가면 흡사 장군총과 비슷한 탑이 있다. 능지탑으로 정방형 탑이다. 낭산 서쪽 기슭에 5층으로 만들어졌으나, 지금은 3층만 남아있으며, 높이는 4.49m이다. 능지탑은 능시탑, 연화탑으로도 불린다. 훼손되어 있던 것을 다시 쌓을 때 3층만 쌓고, 나머지는 한쪽에 모아 놓았다. 문무대.. 보고 배우는 문화유산/우리나라의 볼거리 2017.09.10
순국 선열의 사진 우리나라가 독립된 지도 벌써 73년을 맞이하였다. 자신의 문전옥답을 팔아 만주에 신흥무관학교를 세우고, 독립군을 양성한 우당 이회영선생의 기념관에는 일제에 대항해 항일운동을 펼치신 분들의 사진이 많이 있다. 현재 국내외적으로 위기에 처한 대한민국호에 염치없지만 순국선열.. 보고 배우는 문화유산/우리나라의 볼거리 2017.08.19
치악산 구룡사 지난 주에는 안타까운 일이 있었다. 바로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서 레슬링 그레코로망형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던 김원기 선수가 치악산을 등반했다가 사고를 당했다. 고인의 명복을 빈다. 사고를 당한 날, 나도 치악산을 갔다. 치악산의 정상인 비로봉은 올라가지 않았지만, 구룡사.. 보고 배우는 문화유산/우리나라의 볼거리 2017.08.03
토지문학관 원주에 가면 <토지>를 쓰신 박경리 선생의 '토지문학관이 있다. 대하소설 가운데 가장 오랜 기간, 그리고 그 내용도 방대한 현대사의 대표적 소설이라 히겠다. 26년에 걸친 집필 결과 5부 20권 분량의 대하소설이다. 진주여고를 졸업한 선생은 사상 문제로 세상을 떠난 남편 대신 두 자.. 보고 배우는 문화유산/우리나라의 볼거리 2017.07.28
광주 문형산 월요일부터 오늘까지 2박3일간 광주 오포에 있는 노동교육원으로 연수를 다녀왔다. 느끼고 배운 것도 많았지만, 힐링으로 실시된 등반이 좋았다. 교육원은 문형산이 보듬고 있다. 문형산은 광주와 분당을 사이에 두고 완만하게 오르는 497m의 높지 않은 산이다. 원래 '문형'은 조선시대 대제학의 별칭으로 선비가 많이 배출되라는 뜻으로 그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 그 이후로 '문형산'이라 불리우게 되었다. 또 다른 이야기는 옛부터 문형산 부근에 홍수가 나서 마을이 모두 잠겨도 이곳 문형산 정상만은 잠기지 않았다고 한다. 그 크기가 무명 한필을 말릴수 있는 정도의 넓이라 해서 '문형산'이라 불리기도 하였다고 한다. 북으로는 영장산과 남으로는 불곡산과 연결되어 있다. 문형산 정상, 휴대폰이 흔들렸다. 정상에서 바라본 .. 보고 배우는 문화유산/우리나라의 볼거리 2017.07.19
선인들의 마음, 보물이 되다-2 1. 무엇에 쓴 물건일까? (고려시대 12세기) 배 모양 청자 용기인데 일명 '매화틀'이라 한다. 임금의 변을 매화라 하는데 이 물건은 임금의 이동식 변기이다. 2. 옹기종기 청자향로들(고려 12세기) 3.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고려 12세기말~13세기초) 푸른 유색을 창공삼아 구름 사이를 노니는 학.. 보고 배우는 문화유산/우리나라의 볼거리 2017.05.21
나폴레옹 모자 나폴레옹이 모자를 좋아했다고 한다. 지금은 18개가 남아있는데, 그 중에 1개가 하림그룹이 가지고 있다. 경매가 20억이라고 한다. 나폴레옹이 알프스를 넘을 때 쓰던 모자이다. 군인들에게 '불가능이 없다.'는 말을 남길 때 쓰던 모자이다. 금주도 이 모자의 기운을 받으셔서 저의 블로그를.. 보고 배우는 문화유산/우리나라의 볼거리 2017.04.24
경주 감은사지 신라 제 30대왕인 문무왕은 왕위에 있던 21년 동안 거의 끊임없이 백제 부흥군, 고구려, 당나라와 전쟁을 치러, 마침내 최초로 삼국 통일을 이루고 통일 신라의 기틀을 닦았다. 문무왕의 이름은 김법민이다. 아버지 김춘추가 진덕여왕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르자 태자가 되었다. 그리고 신.. 보고 배우는 문화유산/우리나라의 볼거리 2017.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