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리풀공원 한글날이다. 한글은 세계에서 13번째로 많은 사람들이 쓰는 언어이다. 그러나 한글날을 단순히 쉬는 날로 기억하는 사람이 많은 듯하다. 내가 사는 아파트 주변에 태극기를 게양한 가구는 30여 가구가 사는 아파트 한동에서 2-3가구에 불과할 정도다. 아쉬운 마음에 이촌동의 한글박물관을.. 보고 배우는 문화유산/우리나라의 볼거리 2015.10.09
고희동 가옥 고희동(1886-1965)이 일본 유학을 마치고 돌아와 1918년 직접 설계한 한옥으로 41년간 생활하면서 후학을 양성하고, 당대문화인들과 교류하며 작품활동을 하던 곳이다. 이 집은 근대예술사적 의미가 클 뿐만 아니라 일제강점기 한옥살림집의 변화 양상을 보여주는 근대건축문화유산이다. 생.. 보고 배우는 문화유산/우리나라의 볼거리 2015.10.03
김유정문학촌 김유정은 강원도 춘천의 실래마을에서 부잣집의 아들로 태어났으나 일찍이 부모를 여의며 가세가 기울었다. 1930년 연희전문학교 문과에 진학했으나 국악인 박용주와의 연애가 실패하면서 중퇴하였다. 1932년에는 문맹퇴치를 위해서 고향 실레마을에 금병의숙을 세우기도 하였다. 1935년 .. 보고 배우는 문화유산/우리나라의 볼거리 2015.09.02
홍릉수목원4 홍릉수목원의 다양한 생태를 소개합니다. 간단한 설명이라도 함께 했으면 더욱 좋으리라 생각하는데... 바쁘신 분들이라 그런 점이 아쉽다. 약용으로 사용한다고 한 것은 민간요법이니 참고하시기만... 초롱꽃은 다년생 초본으로 초봄에 잎과 줄기를 살짝 데쳐서 나물로 먹기도 하고, 쌈.. 보고 배우는 문화유산/우리나라의 볼거리 2015.08.20
광복 70주년 전야제 광복 70주년 전야제 행사에 참가했다. 수많은 어려움 속에서 세계 10대 무역국으로 성장한 대한민국, 그동안 고생한 어르신들을 위로하고 새로운 대한민국을 이끌 젊은 세대에게는 희망을 합창하는 순간이었다. 서울시청의 광복 70주년 문양 무대 모습 내가 좋아하는 가수 양희은의 열창, .. 보고 배우는 문화유산/우리나라의 볼거리 2015.08.16
신선이 살았던 섬, 선유도 전북 군산시 옥도면에 속하는 섬으로, 본래 군산도로 불리다가 섬의 경치가 너무 아름다워 신선이 놀았다 하여 '선유도'로 불리게 되었다. 고려시대에는 송나라와의 무역로에서 쉬어가는 기항지(2009년부터 망주봉 주변에서 도자기 파편이 발견되고 있다. 사신으로 왔던 서긍은 선유도에 .. 보고 배우는 문화유산/우리나라의 볼거리 2015.08.08
홍릉수목원3 홍릉수목원에서 반가운 나무를 발견하였다. 바로 주목나무이다. 군에 있을 때 점봉산으로 훈련을 가면 동료들이 꼭 베어오던 나무 중 하나이다. 도장을 새겨 선물하기 위해서다. 주목은 '붉은 나무'란 뜻으로 열매와 나무속까지 온통 붉다. '주목은 살아서 천 년, 죽어서 천녀을 간다'고 .. 보고 배우는 문화유산/우리나라의 볼거리 2015.08.06
홍릉수목원2 홍릉수못원에는 재미있는 이름의 나무도 많다. 그 중의 하나가 뽀뽀나무이다. 왜 뽀뽀나무라고 했는지 궁금하다. 이유라도 함께 설명해주었으면 더욱 좋으련만...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없는 여러 꽃들도 있다. 물론 고기를 먹을 때 쌈으로 먹는 채소(?)들도 보여 반가웠다. 꽃이나 풀들의 .. 보고 배우는 문화유산/우리나라의 볼거리 2015.08.04
홍릉수목원 서울 청량리동, 1895년 을미사변으로 시해된 명성황후를 안장하고 홍릉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1919년 고종이 승하하자 남양주시 금곡동으로 이장하여 고종과 합장하였다. 이후 1922년 일본에 의해 홍릉 지역에 임업시험장을 설립하면서 조성되었는데 전체 면적 44만㎡로 북한 지역 자생 수종.. 보고 배우는 문화유산/우리나라의 볼거리 2015.08.02
북한프로젝트2 북한의 우표이다. 지난 2000년과 2007년 김대중, 노무현대통령의 방문을 기념하는 우표이다. 인쇄기술이 우리나라의 1970년대 수준이다. 그만큼 남북의 겨차는 커지고 있었다. 통일을 앞당겨 낙후된 북한 동포에게 빛을 보여주고 희망을 찾아주어야겠다. 남북을 흐르는 임진강이 하나로 통.. 보고 배우는 문화유산/우리나라의 볼거리 2015.0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