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근정전(勤政殿)을 보자. 국보 223호. 태조 3년(1394)에 지었으며,
임진왜란 때 불탄 것을 고종 4년(1867) 다시 지었다.
앞면 5칸·옆면 5칸 크기의 2층 건물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경복궁의 중심 건물인 근정전은 정종을 비롯한 조선 전기의 여러 왕들이
이곳에서 즉위식을 하기도 하였으며,
신하들이 새해에 임금에게 인사를 드리거나 국가의식을 거행하고 외국 사신을 맞이하던 곳이다.
‘근정’이란 이름은 정도전의 <삼봉집>을 보면
‘천하의 일은 부지런하면 잘 다스려진다’는 의미로,
조선의 임금이 부지런하게 백성을 다스리렸으면 하는 마음에서 지은 이름이다.
근정문을 들어서면 박석(薄石)이 눈에 띈다.
박석은 얇고 넓적하게 뜬 돌로서 통행에 편리함을 주거나
적이 지하로 침입하는 것을 대비하기 위해 깔아놓았다.
또한 배수를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근정전 뒷편보다
근정문의 앞마당 높이를 70cm 낮게 하여
근정문 좌우에 늘어진 행각이 3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래서 비가 올 때 박석 사이로 흐르는 빗물의 모습이
가장 아름다운 경복궁의 모습이라고 했다고 한다.
박석 사이에 고리가 보인다.
이 고리는 조선시대에 근정전 앞에서 행사를 할 때 태양을 가리기 위한 차일을 치기위한 고리였다.
근정전에서 근정문에 이르는 길 좌우에는 정승들의 지위를 표시하는 품계석이 차례로 놓여 있다.
마당에서 근정전으로 올라가는데는 두 개의 월대로 이루어져 있다.
하월대에는 십이지신상이 조각되어 있다.
남쪽에는 말이, 그래서 태양이 가장 높이 뜨는 12시를 정오(正午)라고 하는 것이다.
상월대에는 사신이 조각되어 있다. 닭처럼 보이는 것은 바로 주작이다.
옛날에 무서운 것이 바로 화마(火魔)였다.
이 화마를 피하기 위한 것이 드므이다.
드므에 물을 담아 화마가 그 물에 비친 자신의 모습이 두렵게 하기 위한 상징적 물건이다.
그래도 물이 있었으니 불이 나면 요긴하기도 할 것이다.
근정전 안쪽은 아래·위가 트인 통층으로 뒷편 가운데에 임금의 자리인 어좌가 있다.
어좌 뒤에는 ‘일월오악도’병풍을 놓았고, 위는 화려한 장식으로 꾸몄다.
근정문 좌우로는 복도 건물인 행각(行閣)이 연결되어 근정전을 둘러싸고 있다.
흥선대원군은 세도정치로 약화된 왕권을 회복하려는 뜻에서
왕궁의 위엄을 갖춘 웅장한 궁궐건축을 건설한 것이다.
근정전 마당의 박석, 비가 올 때 골을 따라 흐르는 모습이 장관이라는데...
태양을 가리는 차일을 치는 고리, 1박 2일에선 말을 묶는다고 했던가?
품계석, 우리 조상들은 근정전 가까운 위치에서 놀았다는데...
월대의 모습, 말과 주작의 모습이 보인다.
근정전의 모습, 2층이지만 안은 통층으로 되어 있다.
어좌와 일월오악병풍
'보고 배우는 문화유산 > 경복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복궁 건천궁 (0) | 2012.02.19 |
---|---|
경복궁 향원정 (0) | 2012.02.17 |
경복궁의 침전 (0) | 2012.02.12 |
경복궁 사정전 (0) | 2012.02.09 |
자금성보다 아름다운 경복궁 (0) | 2012.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