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역사문화사전/24절기 31

오늘은 상강(霜降), 무슨 일이 있었을까?

24절기 중 18번째 날로 한로(寒露)과 입동(立冬) 사이에 있는 절기이다. 낮에는 따듯하지만 일교차가 심해 아침과 저녁에는 기온이 급격히 떨어진다. 오늘 설악산에 눈이 내린 것처럼 이른 얼음이 얼거나 눈이 오는 경우도 있으며, 단풍은 절정을 이룬다. '상강'이라는 말은 '서리(霜)가 내리다(降)'이라는 뜻이다. 서리로 인하여 나무와 풀이 누렇게 변색되어 단풍이 절정을 이룬다고 한다. 그리고 뱀이나 개구리 등 겨울잠을 자는 생물들이 땅 속으로 들어가기 시작한다. 조선 후기 다산 정약용의 아들 정학유(丁學游)가 지은 중 '9월령(음력이므로 대체로 양력 10월 무렵에 해당)'에 한로 상강 절기에 대한 당시 농촌 풍습이 전한다. 구월이라 계추(季秋)되니 한로(寒露) 상강(霜降)절기로다/제비는 돌아가고 떼기러기..

오늘은 대서, 무슨 음식을 먹었을까?

오늘은 24절기 중 열두 번째인 대서(大暑)이다. 여름 절기의 여섯 번째 절기이다. 작은 추위(소한)과 큰 추위(대한)를 대비시켜 작은 더위(소서)와 큰 더위(대서)가 있는 것이다. 올해는 내일(24일)까지 장마이지만, 보통 대서에는 장마가 끝나 무더위가 극심한 시기이다. 대서 시기에 얼마나 더위가 심하면 속담에 '대서 더위에 염소뿔도 녹는다'고 하였다. 중복과 겹치기도 하여 복달임 음식을 먹기도 한다. 보양식으로 삼계탕이나 사철탕 등을 먹었다. 과일이 풍성한 계절이기도 하여 수박, 참외, 자두 등과 가지, 오이, 보리밥을 먹었다. 이때 농촌은 바쁜 시기이다. 장마가 끝났기에 논밭에는 잡초가 많이 자랐다. 속담에 '오뉴월 장마에 돌도 큰다.'라는 말이 있다. 곡식이 잘 자라는 것을 뜻하기도 하지만, 잡초..

24절기, 오늘은 입춘

24절기의 첫번째인 입춘은 봄기운 깨어나는 날이다. 입춘은 새해를 상징하는 절후라 행사가 많았다. 대개 입춘은 음력으로 섣달이나 정월에 드는데, 정월과 섣달에 거듭 들면 재봉춘(再逢春)이라 하였다. 올해는 입춘추위가 기승을 부려 오늘은 영하 12도라 저절로 손이 주머니 속으로... 입춘방(입춘첩)을 입춘날 대문이나 중문, 곳간문 방문이나 대들보에 써 붙였다. 대개 立春大吉 建陽多慶/國泰民安 家給人足/雨順風調 時和年豊/堯之日月 舜之乾坤/壽如山 富如海/父母千年壽 子孫萬代寧/天下泰平春 四方無一事/天上近三陽 人間五福來/鳳鳴南山月 麟遊北岳風/掃地黃金出 開門萬福來/春到門前增富貴/春光先到古人家/一家和氣滿門楯/人情富貴如將得/玉洞桃花萬樹春 그런데 입춘업은 다음 해 입춘이 될 때까지 떼어내지 않고 그대로 두었다가 이듬해 ..

소한의 세시풍속

올겨울 추위는 겨울답다고 할까? 1월 5일은 소한이다. 우리나라 속담에 '대한(大寒)이 소한(小寒) 집에 놀러 갔다가 얼어 죽었다'하여 소한(小寒) 추위가 얼마나 매서운지 말하고 있고, '소한(小寒) 추위는 꾸어서라도 한다', ‘춥지 않은 소한(小寒) 없고 포근하지 않은 대한(大寒) 없다.’, ‘소한(小寒)의 얼음이 대한(大寒)에 녹는다.’, ‘소한이 대한의 집에 몸 녹이러 간다.’ 라는 속담이 전할 정도로 소한(小寒) 추위가 겨울 추위 중에 가장 춥다고 하겠다. 24절기에서 글자대로 한다면 물론 대한(大寒)이 제일 춥겠지만, 사실은 1월 5일 소한(小寒) 추위가 일 년 중 가장 춥다. 우리나라 겨울은 입동(立冬)에서 시작하여 소한(小寒)에 이르러 가장 춥다가 대한(大寒)에서 누그러져 입춘(立春) 때 물..

24절기. 상강은 아직인데, 추위가 벌써

10월에 한파주의보라... 64년 만의 10월 추위라고 한다. 본격적인 추위는 10월 23일 무렵의 상강(霜降)이후인데, 이상기후현상이라고 하겠다. 상강은 한자어로 서리 상(霜), 내릴 강(降)으로 한로와 입동 사이의 절기이다. 상강 무렵에는 서리가 내리기 시작하여 아침저녁으로 찬 바람이 분다. 하지만 낮에는 전형적인 가을 날씨로 하늘은 높고 푸르다. 과거에 상강 무렵은 가을 추수의 막바지이기에 노동요로 추수를 독려하기도 하였다. 속담에도 '가을에는 부지깽이도 덤빈다.', '가을들판에는 대부인마님이 나막신짝 나선다'는 말과 같이 쓸모없는 부지깽이나 존귀한 대감마님까지도 나설 정도로 추수에 바쁜 시기였다. 상강에 수확하는 농산물로 종자용 호박, 밤, 감, 조, 수수, 고추, 깻잎 등과 고구마와 땅콩을 캔다..

24절기, 오늘은 한로(寒露), 무슨 일을 했을까?

한로(寒露)는 추분과 상강 사이의 절기로, 음력 8월 말이나 9월 초, 양력으로는 10월 8일 전후이다. 차가운 공기로 찬바람이 불며 찬이슬이 내리면서 국화가 피고 단풍이 시작된다. 음력 9월 9일인 중양절과 비슷한 시기이기도 하다. 10월이면 농번기로 농촌에서는 벼를 수확하느라 바쁘다. 한로의 풍습으로는 어던 것이 있을까? 한로를 전후하여 산과 들판에 국화가 향기를 뿜어낸다. 이때 국화전과 국화주를 담그며, 코로나 시국이라 모임을 할 수 없지만, 이전에는 소풍이나 체육회 등이 성행했다. 구절초는 다른 이름으로 선모초(仙母草)라고도 한다. 야산에 하얗게 꽃을 피우는데, 구절초 꽃차나 구절초 조청을 만들어 먹는다. 맛이 매우 써서 몸을 따뜻하게 하여 부인병에 좋다고 해서 '선모초(仙母草)'라 불리웠다. 한..

24절기, 오늘은 처서, 무슨 일을 했을까요?

오늘은 처서, 24절기 중 입추 다음에 오는 열네 번째 절기이다. 음력 7월 15일, 양력 8월 23일 경이다. 무덥던 여름이 지나가고 선선한 가을이 시작된다는, 바로 '더위가 그친다'는 뜻에서 '처서(處暑)'라고 했다. 처서는 여름이 가고 가을이 오는 모습이 보인다. 즉 땅에서는 귀뚜라미 등에 업혀오고, 하늘에서는 뭉개구름 타고 처서가 온다고 한다. 에서는 처서 전후 15일을 5일씩 셋으로 나누어 첫 5일간 '초후'에는 매가 새를 잡아 제를 지내고, 두 번째 5일간의 '차후'에는 천지에 가을 기운이 돌며, 세 번째 5일간인 '말후'에는 곡식이 익어간다고 한다. 처서에는 여름 내 자란 논두렁 풀을 추수에 대비해 정리하고, 산소를 찾아 벌초를 한다. 처서와 관련 있는 속담으로 '처서가 지나면 모기도 입이 ..

24절기, 오늘은 소서, 무슨 일을 했을까?

7일은 완전한 더위가 아니지만 더위의 시작을 알리는 소서(小暑)이다. 소서는 11번째 절기로 하지와 대서 사이에 드는 날이다. 이 시기부터 더위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어 작은 더위, 소서라고 한다. 소서일은 대체로 장마철과 겹친다. 비가 많이 내려 습도가 높아 무더위가 계속된다. 논에는 모내기를 한 벼가 뿌리를 박아 잡초를 뽑아주는 논매기가 이루어진다. 이 시기에는 과일 열매가 결실을 맺기도 하여 '열매의 계절'이라고도 한다. 무더위로 수분 보충이 필요한 시기이므로 수분 폭탄이라고 할 수박과 토마토, 참외, 자두, 복숭아 등으로 더위 나기를 해야만 한다. 채소도 풍부하고 밀과 보리도 추수가 끝나 먹을 수 있다. 무더위로 지치기 쉬운 시기이므로 기력 보충과 몸의 열을 식혀주기 위해 국수, 부침개, 수제비 등 ..

24절기, 오늘은 하지, 무슨 일을 했을까?

하지는 24절기 중에서 열 번째에 해당하는 절기로 낮이 가장 긴 날이다. 반대로 남반구에서는 낮이 가장 짦은 날이기도 하다. 우리 조상들은 하지 때 가장 바쁘게 지냈다. 곧 다가올 장마나 가뭄에 대비해야 하기 때문이다. 여기에 메밀도 심고, 누에치기는 절정에 이르며, 감자와 마늘을 수확하고 고추밭의 제초작업, 보리 수확과 모내기를 마무리해야만 한다. 또한 하지 무렵에 가뭄이 들면 기우제를 지냈다. ​기우제의 제주(祭主)는 마을의 연장자나 지방 관청의 수령이었다. 제주는 마을의 곳곳에 짐승의 피를 뿌렸다. 그러면 그 자리가 부정을 타서 더럽혀지며, 이를 알고 하늘에서 부정탄 곳을 씻기 위해 비를 내려주었다는 믿음에서 기우제가 이루어졌다. 지금이야 관개 시설이 잘되어 있지만, 우리 조상들은 하늘만 바라보고 ..

24절기가 아닌 명절, 오늘은 단오, 무슨 일을 했을까?

오늘은 단오이다.단오는 단오절, 단옷날, 천중절(天中節), 포절(蒲節:창포의 날), 단양(端陽), 중오절(重午節, 重五節)이라고 불리며, 우리말로 '수릿날'이라고도 한다. 단오의 '단(端)'자는 첫째를 뜻하고, '오(午)'는 다섯이므로 단오는 '초닷새'를 가리킨다. 조선후기 에는 이날 쑥떡을 해먹는데, 쑥떡의 모양이 수레바퀴처럼 만들어져 '수리'라고 했다 고 나와있다. '수리'는 으뜸을 뜻하는 옛말로 수릿날이라고 하는 것은 곧 '으뜸날', 또는 '신의 날'이라 하겠다. 단오에는 '더위를 타지 말고 건강하라'는 뜻에서 부채를 선물하였다. 흔히 '하선동력(夏扇冬曆)'이라고 하여 단오에는 부채를, 동지에는 달력을 선물하였다. 태양의 기운이 가장 강한 단오에는 태양신을 가장 가까이서 만날 수 있는 날이라 술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