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운 선생님/이재운선생의 우리말 이야기

이재운선생의 <잘난 척 우리 한자어 사전>

윤의사 2020. 2. 23. 16:20

지금까지 이런 한자어사전은 없었다
한자는 우리 역사 중 1500여 년을 기록한 매우 중요한 기본 문자다. 그러면서 중국, 베트남, 티베트, 일본, 몽골, 싱가포르, 타이완 등 아시아 공동체를 이루는 여러 나라에서 함께 써온 공통 문자이기도 하다. 이런 의미를 살필 때 한자는 모든 아시아인이 참여해 만든 ‘아시아 공영 문자’라고 정의할 수 있다.
유럽에서 문화와 문명을 일으킨 사람들이 써온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등이 들어와 우리말에 섞여 자연스럽게 쓰이는 것처럼 한자 역시 필요한 만큼 지혜롭게 쓰면 우리말이 더욱 풍부해진다고 믿는다. 한자 표기를 하지 않는 현대의 언어생활에서 너무 어렵거나 잘 쓰지 않는 한자를 굳이 고집할 이유는 없다. 다만 우리말을 쓰고, 한자어를 순우리말로 바꿔 쓰더라도 그 어원은 알아야만 한다. 그래서 한자의 기본을 이해하는 차원에서 우리가 즐겨 쓰는 한자어의 본뜻을 되새기는 건 매우 중요한 일이다.
우리말에 힘이 넘치고 찰지게 하려면 한글과 우리말을 더욱 발전시켜야 하는데, 조상들이 오래도록 써온 한자를 쉽게 버릴 수가 없다. 한자가 그냥 한자가 아니라 조상들이 숨결을 담고, 희로애락과 역사와 문화를 담아놓은 그릇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한자에는 한국인만이 아니라 동아시아 여러 민족의 역사와 문화가 수천 년 동안 발효된 채 가득 담겨 있다. 한자는 저작권이나 소유권이나 국적이 따로 없을 뿐만 아니라, 우리말을 보완할 수 있는 중요한 문자이기도 하다.

우리말을 더욱 찰지고 풍부하게 해주는 한자어
우리 한자어는 조선총독부가 만든 [조선어사전]의 영향을 받은 많은 국어사전들 때문에 뜻이 바르지 않은 것이 많다. 지금도 여러 국어사전에 나오는 우리 한자어 풀이를 보면 어설프고 엉뚱한 것이 많다. [알아두면 잘난 척하기 딱 좋은 우리 한자어사전]은 이 같은 오류를 바로잡고자 노력한 끝에 얻은 작은 결실이다.
[알아두면 잘난 척하기 딱 좋은 우리 한자어사전]에는 국립국어원이 조사한 자주 쓰는 우리말 6000개 어휘 중에서 고유명사와 순우리말을 뺀 한자어를 거의 담았다. 이 책만 공부하면 따로 한자를 배우지 않아도 우리말을 쓰고 말하는 데 큰 어려움이 없도록 하고자 애썼다. 특히 이 책은 우리 조상들이 쓰던 한자어의 뜻을 제대로 새겨 더 또렷하게 드러냈으며, 한자가 생긴 원리부터 출발하기 때문에 누구나 알기 쉽고 오래 기억할 수 있다. 한자를 전혀 공부하지 않은 세대가 우리 한자어를 쉽게 이해하고 바르게 쓸 수 있는 최고의 길잡이 구실을 톡톡히 하여, 그 누구라도 따로 한자를 배우지 않아도 쓰고 말하는 데 큰 어려움이 없이 한자의 달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이 우리말을 더 또렷하고 힘 있게 하는 데 작은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고 믿는다.


'이재운 선생님 > 이재운선생의 우리말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나님  (0) 2020.07.24
숙제(宿題)  (0) 2020.05.30
세자의 딸을 부르는 호칭  (0) 2019.09.01
거덜이 하인  (0) 2019.08.31
무데뽀(むてっぽう)  (0) 2019.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