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운 선생님/이재운선생의 우리말 이야기

[스크랩] 인민(人民)? 누가 인(人)이고 누가 민(民)인가?

윤의사 2018. 7. 19. 20:10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7.9 - 20회 / 인민(人民)? 누가 인(人)이고 누가 민(民)인가?

- 알아두면 잘난 척하기 딱 좋은 우리말 잡학사전 / 이재운 / 노마드 / 552쪽 / 24년 28쇄


인민이라는 말이 널리 쓰이고 있다. 특히 북한과 중국에서 널리 쓰인다. 

우리나라에서는 백성, 국민이라는 말이 쓰이다가 한쪽에서는 민중이라는 말을 더 즐겨 쓴다. 민중은 민이 무리지어 있다는 뜻이다.

대체 인(人)은 무엇이고 민(民)은 무엇이길래 나누고 가르며, 굳이 민중이라고 고쳐 쓰는 건 무슨 까닭인가?


고대에 인()은 왕에게만 쓰이던 문자였다. 나중에 왕을 가리키는 말이 군(), () 등으로 변하면서 주권이 있는 사람()과 민()을 거느린 사람으로 확대되었다. 즉 왕, 제후, , 대부 등 주권이 있는 사람만이 인()이 되고, 그 아래에서 생산에 종사하는 사람은 민()이라고 불렀다



그래서 인은 한동안 현인, 인재를 가리키는 말로 쓰였다.

불교가 들어오면서 인은 호모 사피엔스를 가리키는 말로 완전히 자리를 잡았다. 

이후에도 民 개념은 잘 바뀌지 않았다. 불교와 관계없이 중국 사회에서 노예 등은 여전히 존재하였기 때문에 民은 사라지지 않았다.


민(民)은 다스림을 받는 사람이다. 즉 포로나 노예다.

우리나라에서도 인은 양반들만 가리키는 말로 쓰이고, 나머지는 민이 되었다. 국人이 아니고 국民이 된 것도, 人들이 民을 위하는 것이 아닌 부리는 대상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이런 숨은 뜻이 오늘날에도 그대로 작용한다.



우리나라 말에는 오직 사람만 있다. 사람 위 사람 없고, 사람 아래 사람 없다.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7.9 - 19회 / 은행? 왜 금행이라고 부르지 않았을까?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7.9 - 18회 / 육개장의 개는 무슨 뜻일까?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7.6 - 17회 / 우위를 점하다? 뭘 어쨌다고?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7.4 - 16회 / 용빼는 재주? 용 한 마리 잡나?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6.30 - 15회 / 권력(權力)이란 어떤 힘을 가리키나?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6.27 - 14회 / 아직도 창씨개명하는 사람들이 있다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6.27 - 13회 / 왜구가 아기발도(阿其拔都)로 불리게 된 이야기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6.24 - 12회 / 애도하다? 뭐가 슬픈데?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6.23 - 11회 / 망하다? 망하면 뭐가 어떻게 되는데?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6.17 - 10회 / 조계종? 조계가 무슨 뜻인데?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6.15 - 9회 / 선거? 선은 무엇이고 거는 무엇인가?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6.14 - 8회 / 골백번은 대체 몇 번이란 말일까?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6.9 - 7회 / 골로 가다? 죽어서 골짜기로 가나?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6.8 - 6회 / 간발의 차이? 어느 정도 차인데?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6.6 - 5회 /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 그게 뭔데?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6.6 - 4회 / 가냘프다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6.2 - 3회 / 몇 살이나 돼야 생신이라고 부를 수 있나?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6.1 - 2회 / 효자(孝子)는 누구를 가리키나?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5.31 - 1회 / '질질 끌다'의 질질이 무슨 뜻?

출처 : 알탄하우스
글쓴이 : 태이자 이재운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