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 배우는 문화유산/우리나라의 볼거리

민영환 열사의 흔적을 찾아

윤의사 2010. 10. 31. 12:11

민영환 열사의 흔적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마북동 산 36 구성초등학교 뒤편 산기슭에 있다. 구성고등학교 담을 끼고 30M 돌아가면 묘가 나타난다. 평소에 출입문이 닫혀있을 수 있다. 그러면 출입문 왼쪽에 관리사무소를 찾으면 된다.  
본래 수지면 풍덕천리 토월마을에 봉분 없이 평장되었던 것을 1942년에 후손들이 지금의 위치로 이장하였고, 1959년 3월에는 신도비를 세웠다. 신도비에는 이승만대통령이 직접 쓴 제자와 열사가 자결하였을 때 남긴 유서도 함께 각자해놓았다. 신도비는 비좌와 비신, 팔작 지붕 옥개석을 갖추고 있다. 전체 높이는 310CM, 비신의 높이는 212CM, 너비 90CM, 두께 41CM이다.
열사의 묘는 중앙에 계단이 있으며, 60m 정도의 곡담을 높게 쌓았다. 묘 양쪽에는 문관석과 망주석이 각각 1기씩 있으며, 중앙에 상석과 장명등이 있다.

1973년에 경기도 지방문화재 18호로 지정되었다.


민영환 열사는 당대 제일의 권문세가에서 태어났으면서도 출세의 길을 따르지 않고, 오로지 나라의 개혁과 발전을 위해 노력하였다. 일본이 강제로 을사조약을 맺고 우리나라의 외교권을 빼앗자, 스스로 목숨을 끊어 불의에 항거하였다. 자는 문약, 호는 계정, 시호는 충정이다.

민영환 열사는 호조판서를 지낸 민겸호의 아들로 명성황후의 조카였다.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고 바른 말을 잘 했다고 한다. 그는 당대 제일의 집안 출신으로 어려움 없이 벼슬길에 나가 1877년에 동몽교관이 되었다. 그리고 이듬해 문과에 급제한 뒤 본격적인 관직 생활에 들어섰다. 그러나 임오군란 때 아버지가 군인들에게 살해되자, 마음의 상처를 잊기 위해 관직에서 물러났다. 고종의 권유로 다시 관직에 나와 이조참의가 되고, 스물일곱 살에 예조판서에 오르는 등 중요한 자리를 두루 거쳤다.

민영환 열사는 러시아의 힘을 이용해 일본을 막으려는 외교 정책에 깊은 관심을 가졌다. 그래서 러시아 베베르 공사와 가깝게 지냈다. 그리고 러시아 황제 니콜라이 2세의 대관식에 축하 사절로 참석하면서 유럽의 앞선 문명을 처음 접하였다.

민영환 열사는 유럽의 근대화된 모습을 직접 체험하면서 조선이 잘 살기 위해서는 하루빨리 새로운 문물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믿었다.

민영환 열사는 유럽의 제도를 본떠 정치 체제를 개혁하고, 백성의 권리를 키우자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군사 제도의 개편만이 받아들여졌다. 한편 1896년에 설립된 독립협회에 활동 자금을 대는 등 적극적으로 후원하면서, 정치를 개혁하는 계기로 삼고자 하였다. 이 일로 민영환 열사는 민씨 일파의 미움을 사 관직에서 쫓겨났고, 결국 독립협회는 해산당했다. 그 뒤 다시 관직에 올랐으나 일본의 내정 간섭에 반대하다가 권력에서 밀려났다.

일본은 1905년 강제로 을사조약을 맺어 우리의 외교권을 빼앗았다. 이 소식을 들은 민영환 열사는 궁궐로 달려가 조약에 찬성한 5명의 역적을 처벌하고 조약을 없던 것으로 하자는 상소문을 올렸다. 그러나 뜻을 이루지 못하자, 민영환 열사는 스스로 목숨을 끊어 불의에 항거하였다. 그의 나이 이제 마흔 다섯이었다.

 

 

 

'보고 배우는 문화유산 > 우리나라의 볼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인시 처인성  (0) 2010.11.13
이한응 열사  (0) 2010.11.09
조광조의 묘를 지나니  (0) 2010.10.29
용인 심곡서원  (0) 2010.10.27
용인 충렬서원  (0) 2010.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