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역사문화사전 735

허준 박물관

9호선 가는 방법 :가양역 가양역 1번 출구로 나와 직진하다 보면 오른편에 홈플러스가 보일 거예요. 이 건물을 오른쪽에 끼고 돌면 허준 테마 거리가 있어요. 그 길을 따라가다 보면 허준 박물관이 나온답니다. 허준 박물관은 서울 강서구(옛 이름 양천현)에 있어요. 허준 선생은 평생 이곳에 살았다고 해요. 그의 가장 유명한 책이자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으로 등재된 도 이곳에서 완성했다고 해요. 선생은 동양 의학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이고 우리나라 의학의 우수성을 세계에 알린 인물이에요. 허준 박물관은 이러한 허준 선생의 삶과 학문적 업적을 기리고자 세워졌어요. 허준 선생의 초상화와 쓴 책들, 에 나오는 약초와 전통 약그릇 등이 전시되어 있지요. 허준 1539~1615 허준 선생은 무인으로 출세한 양반 집안에..

이순신 장군 탄생지

▷가는 방법 : 을지로3가역 을지로3가역 7번 출구로 나와 걷다 보면 오른편으로 제비스코 태창 페인트 상사라는 가게가 보일 거예요. 그 가게 골목으로 들어가요. 왼편으로 명성 합지라는 가게가 보이면 가게를 왼편에 끼고 골목으로 들어가요. 골목을 따라 걷다 보면 앞에 신도 빌딩이 나와요. 충청남도 아산에는 이순신 장군을 기리는 사당인 현충사가 있어요. 그래서 이순신 장군의 고향을 아산으로 생각하기 쉬운데, 아산은 이순신 장군의 외가가 있는 곳이고 고향은 서울이에요. 이순신 장군은 서울 중구에 위치한 인현동(옛 이름은 건천동)에서 태어났어요. 을지로3가역 7번 출구로 나와 걷다 보면 인도에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거리’라고 쓰여 있고, 그 길을 따라 5분 정도 가면 명보 아트홀 건물 앞에 ‘충무공 이순신 생..

이승만에 대한 부정평가는 역사적 사실에 부합하지 않는 왜곡

28일(현지 시각) 국가보훈처가 한미 동맹 70주년을 기념해 워싱턴DC 조지워싱턴대에서 개최한 ‘이승만 대통령 재조명’ 좌담회에는 윌리엄 스툭 조지아대 석좌교수, 그레그 브레진스키 조지워싱턴대 교수, 데이비드 필즈 위스콘신대 동아시아 센터 부소장 등이 참석했다. 박민식 보훈처장이 이 전 대통령의 공과(功過)와 관련해 질문하고, 한종우 한국전쟁유업재단 이사장이 답변을 정리·요약했다. 스툭 교수는 “해방 이후 수많은 변수와 위협 조건들이 엄존했던 상황에서 이승만 전 대통령이 농지개혁 등을 성공시키면서 나라를 안정적으로 이끈 것은 인정해야 한다”며 “이승만이 만들어 낸 한미상호방위조약은 현재도 (한미동맹에서) 핵심 역할을 계속하고 있다”고 했다. 필즈 교수는 “이 전 대통령의 인생에는 집권 연장 등 결점도 있..

세종대왕기념관

▶가는 방법 : 5호선 고려대역 고려대역 3번 출구로 나와 직진해요. 횡단보도가 나오면 건너지 말고 오른쪽 길로 가요. 오른쪽으로 세종 대왕 기념관 삼거리가 나올 때까지 계속 직진해요. 그러면 앞쪽으로 세종 대왕 기념관 입구가 보일 거예요. 세종 대왕 기념관은 세종 대왕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1973년 10월 9일 한글날에 맞춰 개관하였어요. 세종 대왕 기념관은 크게 일대기실ㆍ한글실ㆍ과학실ㆍ국악실로 구성된 실내 전시실과, 실외 전시실로 나누어 볼 수 있어요. 일대기실에는 세종 대왕 어진과 훈민정음 반포도 등 일대기와 관련된 자료들이 전시되어 있어요. 한글실에는 《훈민정음》,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 등 세종 대왕이 나라를 다스리던 당시 펴냈던 한글과 관련된 책들이 전시되어 있지요. 밖으로 나가면 ..

독립문

가는 방법 : 3 독립문역 독립문역 4번 출구로 나와 길을 따라 쭉 가다 보면 독립문이 나와요. 사적 독립문은 중국 사신을 맞이하던 모화관의 정문인 영은문을 허물고 지어졌어요. 모화관이라는 이름에는 ‘큰 나라를 섬긴다.’는 뜻이 담겨 있어요. 독립 협회의 주도 아래 백성들은 시공비 3825원을 모았어요. 1896년 11월에 짓기 시작한 독립문은 1년 만에 완성되었지요. 독립문은 더 이상 다른 나라에게 간섭받지 않고 나라를 다스리겠다는 정신이 담겨 있어요. 움직이는 역사 박물관 - 독립운동의 발자취 ‘독립문’ < 학습 < 기사본문 - 소년한국일보 (kidshankook.kr) 움직이는 역사 박물관 - 독립운동의 발자취 ‘독립문’ - 소년한국일보 가는 방법 : 3 독립문역독립문역 4번 출구로 나와 길을 따라..

경복궁 수정전

가는 방법 :경복궁역 경복궁역 5번 출구로 나오면 앞쪽으로 경복궁 안으로 들어갈 수 있는 문이 보여요. 안쪽으로 쭉 들어가다 보면 오른편으로 광화문이, 왼편으로 흥례문이 보이지요. 흥례문 쪽으로 들어가 직진해요. 근정문을 지나면 근정전이 보이는데, 근정전 왼편으로 돌아가면 왼쪽에 수정전으로 가는 문이 나와요. 그 문을 지나면 바로 보이는 건물이 바로 수정전이랍니다. 경복궁은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가 지은 궁궐이에요. 경복궁에는 왕족들이 생활하는 침전 영역, 관리들이 왕에게 문안 인사를 드리거나 외국 사신을 맞이하던 정전 영역, 정사를 보며 경전을 읽고 토론하던 편전 영역,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후원 등이 있지요. 외국 사신들을 맞이하거나 왕이 관리들과 연회를 열던 경회루 남쪽을 보면, 현재 경복궁 건..

이화박물관

가는 방법 : 서대문역 서대문역 5번 출구로 나와 정동 사거리까지 직진해요. 사거리가 나오면 오른쪽으로 꺾어 길을 따라 계속 걸어요. 그러다 보면 오른편에 이화 여자 고등학교가 나올 거예요. 이화 박물관은 이화 여자 고등학교 안에 위치해 있어요. 이화 학당은 가부장적인 사회 속에서 제대로 교육을 받지 못했던 여성들을 위하여 세운 우리나라 최초의 여학교예요. 1886년 미국인 선교사 스크랜턴 여사가 설립했어요. ‘이화’라는 이름은 조선의 26대 왕인 고종이 ‘배꽃같이 순결하고 아름다우며 향기로운 열매를 맺으라.’는 뜻으로 지어 준 거예요. 설립 당시 여성 교육을 기피하는 전통적인 관념과 서양인에 대한 배타적인 태도 때문에 학생 수가 많지 않았지만 점차 학생 수가 늘어나고 규모가 커졌어요. 이화 학당은 우리..

도산공원

가는 방법 : 압구정역 압구정역 3번 출구로 나와서 뒤돌아 걸으면 두 갈래 길이 나올 거예요. 오른쪽 길로 걷다 보면 오른편에 영화관 입구, 그 왼편으로 길이 하나 나와요. 이를 따라 큰길이 나올 때까지 걷다가 큰길에서 오른쪽으로 꺾어요. 길을 따라 걷다 보면 왼편으로 횡단보도가 나오는데, 이를 건넌 다음 앞쪽으로 보이는 골목을 따라 계속 직진해요. 왼편으로 도산 공원 입구가 보여요. 도산 공원은 안창호 선생의 호인 ‘도산’에서 따와 붙인 이름이에요. 선생의 애국정신과 교육 정신을 기리기 위해 1973년에 조성되었어요. 이곳에는 안창호 선생과 아내 이혜련 여사의 묘, 안창호 선생의 동상, 도산 안창호 기념관이 있어요. 도산 공원 바로 오른편에 위치해 있는 기념관에서는 선생의 생애와 여러 활동을 살펴볼 수..

안중근의사기념관

가는 방법: ‘서울역’ 서울역 4번 출구로 나와 직진하면 버스 정류장이 나와요. 402번이나 405번 버스를 탄 다음, ‘남산 도서관, 용산 도서관’에서 하차해요. 버스가 가던 방향으로 조금 걸으면 횡단보도가 나와요. 여기를 건넌 뒤 왼쪽 길을 따라 올라가면 안중근 의사 기념관 입구가 보여요. 움직이는 역사 박물관 - 안중근 의사 기념관 < 학습 < 기사본문 - 소년한국일보 (kidshankook.kr) 움직이는 역사 박물관 - 안중근 의사 기념관 - 소년한국일보 가는 방법: ‘서울역’서울역 4번 출구로 나와 직진하면 버스 정류장이 나와요. 402번이나 405번 버스를 탄 다음, ‘남산 도서관, 용산 도서관’에서 하차해요. 버스가 가던 방향으로 조금 걸으면 www.kidshankook.kr

백범김구기념관

에 지난 3월 7일부터 필자가 쓴 『움직이는 역사박물관』이 연재되고 있다. 신문에 실린 글을 포스팅하고자 한다. 백범 김구, 이순신 장군, 조선의 5대 궁궐…. 교과서에 나오는 역사 인물과 유적지입니다. 이 코너는 어린이들이 꼭 알아야 할 우리 문화유산을 지하철을 통해 만날 수 있게 해 줍니다. 한마디로 ‘지하철로 떠나는 초등 체험 학습’이지요. 역사 유적지를 향해 지하철로 함께 떠나볼까요? 백범김구기념관 가는 방법: 6호선 경의중앙선 효창공원앞역 효창공원앞역 1번 출구에서 나와서 오른쪽 효창 운동장 방향으로 길을 따라 걷다 보면 효창동 주민센터가 보여요. 이 센터를 앞으로 바라봤을 때 왼쪽 길로 올라오면 백범 김구 기념관 출입구가 나와요. 움직이는 역사 박물관 - 백범 김구 기념관 < 사회 · 경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