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월오봉도는 국왕의 권위와 존재를 나타내는 그림으로
오로지 국왕만이 사용하는 병풍이다.
그래서 국왕이 있는 곳이면 실내외를 막론하고 일월오봉도가 있었다.
일월오봉도에는 해, 달, 별과 다섯 봉우리(오악)을 포함한 십이장과
임금의 덕을 상징하고 보호하는 각종 자연물관 관련이 있다.
헌종가례진하도 8폭병풍으로 1844년 10월 18일 남양홍씨 재룡의 딸을 계빙로 책봉하고 4일 후 경희궁 숭정전에서 있었던 진하례를 그린 계병이다.
1폭에는 하례교문이, 8폭에는 선전관 25명의 좌목이 기록되어 있다. 2-7폭까지는 창덕궁 인정전에서의 진하례를 묘사하였다. 숭정전이 아닌 인정전을 배경으로 진하례를 그리는 것이 19세기의 특징이다.
왕세자두후평복진하도는 고종 16년(1879) 12월 왕세자였던 순종이 천연두에 걸렸다가 회복된 것을 축하하기 위해 제작된 궁중행사도이다.
1폭에는 서문이. 8폭에는 병풍 제작을 발의한 15명의 좌목이 적혀있으며, 두 개의 행사 장면을 세폭에 나눠 그렸다. 행사 장면은 이전에 그려진 왕세자책례도를 가져온 것으로 보인다.
고종임인진연 8폭병풍은 임인년(1902) 11월에 열린 조선의 마지막 궁중 연회이다.
고종의 망육순(51세)와 임금이 된 지 40년을 송축하기 위한 행사로,
오른쪽부터 시간 순서대로 외진연, 내진연, 야진연, 익일회작이 그려져 있다.
진연청에서 기록을 목적으로 제작되었으며,
당시의 정황을 사실대로 그려 궁중 병풍의 원형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