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314

음4월8일 오늘의 역사, 한성부의 인구

2024년 12월 기준으로 서울시의 인구는 933만 1,828명 이다.한때는 1,000만을 넘었지만 인구가 감소하고 신도시의 개발로 인구가 감소하였다.그래도 1,000만 도시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서울은 조선시대 이래 대한민국의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로 지금까지 이어오고 있다. 서울시의 인구가 처음 보인 것인 40권, 세종 10년(1428) 윤4월 8일 기사이다.  40권, 세종 10년(1428) 윤4월 8일 한성부가 계하기를,"병오년의 호적[版籍]이 지금에 이르러 드디어 경성(京城) 5부의 호수(戶數)가 1만 6천 9백 21호, 인구는 10만 3천 3백 28인이며, 관령(管領)이 46인을 이루었습니다. 성밖 10리의 지역에는 호수가 1천 6백 1호, 인구가 6천 44인, 관령이 15명입니다. 그..

4월6일 오늘의 역사, 미국의 참전

1917년 4월 6일, 미국이 독일에 대해 선전 포고를 하면서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했다. 미국은 독일이 전개한 무제한 잠수함작전에 의하여 자국의 상선이 피해를 입자 독일에 선전포고를 하게된 것이다.중립적인 입장을 가졌던 미국의 참전은 유럽에서 벌어지고 있던 제1차 세계 대전의 양상을 바꾸어놓았다.연합국의 일원으로 전쟁에 참전하면서 1918년 11월 독일이 연합국에 항복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이후 미국은 세계에서 중심국가로, 경찰국가로 지금까지 그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당시 대통령인 윌슨은 민족자결주의를 발표해 '한 민족의 문제는 스스로 해결해야한다'고 발표해 우리나라에서는 3.1운동이 일어나는 계기가 되었다.나아가 국제적인 분쟁을 해결하기위한 기구로 국제연맹을 만들었으나,이를 만드는데 중심국가인 ..

4월5일 오늘의 역사, 제1차 천안문 사태

중국인의 존경을 많이 받는 인물은 바로 저우언라이 총리이다. 1976년 1월,  그가 죽자 마오쩌둥과 갈등으로 실각하였다고 생각한 중국인들이 추모하려고 했다. 그러나 저우언라이를 싫어한 마우쩌둥의 부인 장칭을 비롯한 4인방(장춘차오, 왕훙원, 야오원위안)이 저우언라이를 비난하며 추모 행사를 방해하였다. 더구나 저우언라이 장례식에 참석한 사인방의 언행에 중국인들은 분노하고 있었다. 4월 4일 청명절에 베이징 시민들은 저우언라이를 추모하기 위해 천안문 광장에 있는 인민영웅기념비를 향해 '인터내셔널가'를 부르며 행진한 후 저우언라이의 자자필 비문이 새겨진 기념비에 화환을 걸고 추모했다. 그런데 사인방이 기념비에 있던 화환을 전부 철거해버렸다. 그동안 문화대혁명으로 경기침체에 따른 고통을 받고 살던 중국인들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