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17

충칭 치장(기강:綦江) 박물관

임시정부는 상하이에서 1919년 4월 수립되어 매헌윤봉길의사의 독립전쟁으로 유명무실해진 임시정부가 다시 독립운동의 중심역할을 되찾으면서 26년간 독립운동의 중심 역할을 했다. 그러나 1932년 매헌윤봉길의사의 독립전쟁 이후 상하이에서의 활동이 어려워져 항저우(抗州, 1932.5~1935.11), 자싱(加興, 1935.11~1937.4), 전장(진강, 1937.4~1937.11), 창사(長沙, 1937.11~1938.7), 광저우(廣州, 1938.7~1938.10), 류저우(유주, 1938.10~1939.3), 치장(綦江,1939.3~1940.9), 그리고 충칭(重慶, 1940.9~1945.11)에서 활동하였다.치장은 중국 쓰촨성(四川省)과 구이저우성(貴州省)에 접경한 작은 도시로 현재는 충칭시에 속해 있..

가고싶은 곳 2025.07.17

충칭의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구지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광복의 뜻을 이루기 위해서는 일본과 일전을 벌여야 한다는 생각으로1940년 9월 17일에 중화민국 충칭에서 임시정부 정규 국군으로 한국광복군을 창설하였다.한국광복군은 1939년 1월에 만들어진 한국독립당 당군과 지청천과 이범석이 이끌고 온 만주독립군과 연합하여1940년 9월 17일 충칭 가릉빈관에서 광복군총사령부성립전례를 통해 만들어졌다. 광복군은 1944년까지 중화민국 국민혁명군의 통제를 받다가 1944년 8월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통수권을 인수했다.광복군은 총사령관에 지청천, 참모장에 이범석, 총무처장에 최용덕, 참모처장에 채원개, 군무처장에 유진동을 임명하면서 모병(募兵) 활동도 적극적으로 벌였으니, 5개의 징모분처를 설치해 산서성, 수원성, 절강성, 안휘성 등의 지역으로 대..

가고싶은 곳 2025.07.16

충칭 이동녕 선생 거주지

일제 강점기의 독립 운동가이다. 1869년 9월 2일(양력 10월 6일) 충남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동리에서 의성 군수 등을 지낸 교육자 이병옥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자(字)는 봉소(鳳所), 호(號)는 석오(石吾)이다.청소년들에게 역사 교육을 시키고, 민족을 단결시키기 위해 노력했다.이동녕은 독립협회에 참여하여 민중을 계몽하는 한편, 양기탁, 신채호 등과 상동청년회를 만들어 일본의 침략에 대항하였다.을사늑약 체결에 대한 반대투쟁을 벌이다 투옥되었으며, 출옥 후 북간도 용정촌으로 망명하여 우리나라 최초의항일민족교육기관인 서전서숙을 설립하여 독립운동 인재를 양성하였고, 귀국하여 신민회 조직에 참여하였다.1910년 한일합방이 되자, 서간도 유하현으로 가서 교포들의 자치 기관인 경학사를 조직하고 신흥 강습소(뒤..

문화재 2025.07.15